어촌지도자의 핵심역량모델 개발 및 교육요구도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지도자의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면담, 잠정적 핵심역량 모델 개발, 전문가를 통한 안면타당도 실시, 설문조사를 통한 핵심역량 모델 확정, 설문조사를 통한 교육요구 분석 등의 절차를 거쳤다. 연구결과 어촌지도자의 핵심역량모델로 6개 역량군, 하위 35개 핵심역량들을 도출하였다. 어촌지도자의 역량군 6개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한 결과, 지역애 및 지역이해, 리더십기반 인간관계, 종합적사고 등 3개 역량군이 최우선순위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3...
Saved in:
Published in | 평생학습사회 Vol. 9; no. 3; pp. 115 - 14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12.2013
미래원격교육연구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13.12.9.3.115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지도자의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면담, 잠정적 핵심역량 모델 개발, 전문가를 통한 안면타당도 실시, 설문조사를 통한 핵심역량 모델 확정, 설문조사를 통한 교육요구 분석 등의 절차를 거쳤다. 연구결과 어촌지도자의 핵심역량모델로 6개 역량군, 하위 35개 핵심역량들을 도출하였다. 어촌지도자의 역량군 6개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한 결과, 지역애 및 지역이해, 리더십기반 인간관계, 종합적사고 등 3개 역량군이 최우선순위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35개 핵심역량 전체에 대해서도 교육요구를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어촌지도자의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e model and analyse educational needs for fishing village leaders. This study is performed by means of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 with specialist on the subject, temporary core competence model development, content validity check, core competence model decision by survey, and educational needs analysis by survey. The results are that 6 competence groups and 35 core competences for fishing village leaders are extracted. The results analysing priorities among 6 competence groups are ‘love and awareness for region’, ‘relationship based on leadership’, and ‘comprehensive thinking’. The analysis of each 35 core competences also performe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proposals to be applied education for fishing village leaders reflecting these results of this study.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G704-SER000015054.2013.9.3.002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13.12.9.3.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