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종골과 다공성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의 골 유합능 비교
목 적: 동종골과 다공성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본그로스-HA)를 이용하여 백색 가토의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함으로써 유합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3-3.5 kg의 뉴질랜드산 수컷 백색 가토의 양측 제4-5 요추 횡돌기를 후외방 도달법으로 노출한 후 각각 3 cc의 동종골 또는 다공성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이식하였다. 15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었고, 술 후 12주에 전체를 희생하여 육안 및 도수 촉진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인장 검사, 조직학적 검사 등을 통해 골형성 및 유합 능력을 평가하였다. 동종골을 이...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2; no. 4; pp. 545 - 552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0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Loading…
Summary: | 목 적: 동종골과 다공성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본그로스-HA)를 이용하여 백색 가토의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함으로써 유합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3-3.5 kg의 뉴질랜드산 수컷 백색 가토의 양측 제4-5 요추 횡돌기를 후외방 도달법으로 노출한 후 각각 3 cc의 동종골 또는 다공성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이식하였다. 15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었고, 술 후 12주에 전체를 희생하여 육안 및 도수 촉진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인장 검사, 조직학적 검사 등을 통해 골형성 및 유합 능력을 평가하였다. 동종골을 이식한 군에서 생육 도중 6마리가 사망하여 부검을 시행하였으나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결 과 : 술후 12주에 동종골 이식 군에서는 9마리 중 5마리(55.6%)가 완전 유합, 4마리가 부분 유합으로 판정되었고, HA 이식 군에서는 15마리 중 10마리(66.7%)가 완전 유합, 4마리가 부분 유합, 1마리에서 불유합의 소견을 보였다. 인장 검사 상 유합체의 평균 파단점은 동종골 이식 군에서 140.7 N, HA 이식 군에서 189.6 N이었다. 각 군 당 2마리씩 시행한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HA 이식 군의 골전도 양상이 다소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7.42.4.004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