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빔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에서의 C-형 치근 및 근관에 관한 연구

목적: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콘빔CT를 이용하여 상악 대구치에서 C-형 치근 및 근관의 발현빈도와 형태를 분류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357개 상악 대구치(제1대구치 186개, 제2대구치 171개)의 콘빔CT 영상을 두 명의 치과보존과 전문의가 평가하였다. 결과: 8가지의 C-형 치근 형태와 5가지의 C-형 근관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C-형 치근 및 근관의 발현빈도는 각각 21.0%와 5.3%였다. 결론: 이러한 해부학적 변이는 제1대구치보다 제2대구치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상악 대구치의 성공적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 31; no. 2; pp. 104 - 111
Main Authors 김진우(Jin-Woo Kim), 지효진(Hyo-Jin Ji), 조경모(Kyung-Mo Cho), 김성민(Sung-Min Kim), 박세희(Se-He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턱관절교합학회 01.06.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4353
2384-4272
DOI10.14368/jdras.2015.31.2.10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콘빔CT를 이용하여 상악 대구치에서 C-형 치근 및 근관의 발현빈도와 형태를 분류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357개 상악 대구치(제1대구치 186개, 제2대구치 171개)의 콘빔CT 영상을 두 명의 치과보존과 전문의가 평가하였다. 결과: 8가지의 C-형 치근 형태와 5가지의 C-형 근관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C-형 치근 및 근관의 발현빈도는 각각 21.0%와 5.3%였다. 결론: 이러한 해부학적 변이는 제1대구치보다 제2대구치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상악 대구치의 성공적인 근관치료를위해 다양한 형태의 C-형 치근 및 C-형 근관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and types of C-shaped roots and C-shaped canal in maxillary molars by analyz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a Korean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Total of 357 CBCT images of maxillary molars (186 first molar, 171 second molar) were evaluated by two Endodontic specialists. Results: Eight types of C-shaped roots and 5 types of C-shaped canals were founded, the prevalence rate of C-shaped roots and canals were 21.0% and 5.3%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anatomical variations were more frequent in second molars than the first molars. Clinicians should have anatomical knowledge about various types of C-shaped root and root canal for successful root canal therap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774.2015.31.2.010
ISSN:2384-4353
2384-4272
DOI:10.14368/jdras.2015.31.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