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이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는 조손가족 조부모를 대상으로 빈곤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조손가족 180가구의 조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구별 특성, 빈곤의 정도, 양육스트레스의 정도를 추출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비교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ㆍ자녀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빈곤한 집단과 빈곤하지 않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의 세 가지 양육스트레스, 즉 과중한 역할부담, 사회적 낙인, 보육문제에 대한 영향관계와 차이를 비교분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0; no. 2; pp. 69 - 77
Main Author 강미희(Mi-Hee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06.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는 조손가족 조부모를 대상으로 빈곤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조손가족 180가구의 조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구별 특성, 빈곤의 정도, 양육스트레스의 정도를 추출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비교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ㆍ자녀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빈곤한 집단과 빈곤하지 않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의 세 가지 양육스트레스, 즉 과중한 역할부담, 사회적 낙인, 보육문제에 대한 영향관계와 차이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빈곤 정도에 따른 집단 간 양육스트레스 정도 차이는 과중한 역할부담과 보육문제에서 평균값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사회적 낙인은 집단 간 양육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손가족 조부모나 손자ㆍ녀를 대상으로 진행되어야 할 사회복지나 사회서비스 정책 수립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향후 연구방향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overty and parenting stress that affect to grandparents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consistently increasing since IMF. For this, it was extracted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poverty,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through survey of 180 grandparents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was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verage comparisons. Three kinds of parenting stress as a heavy burden of the role, social stigma, child care issue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Through the comparison, it fou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was compared divided as poor group and not poor group. Based on the degree of poverty,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s parenting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s of heavy burden of the role and child care issues. But in social stigma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across groups and It signifies that this results were no meaningful statistically. Using these results, this report proposes the need for establishment and support for social welfare policy suitable at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noted.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2182.2012.20.2.008
ISSN:1225-665X
2234-1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