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골 간부 골절에서 흡연이 골절 유합에 미치는 영향

목 적: 장관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흡연이 유합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4년간 장관골 간부 골절로 치료받았던 환자 중 다발성 골절, 심한 분쇄골절, 개방성 골절(grade III 이상), 일부 내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한 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을 흡연군과 비흡연 군으로 나누어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으로 조사한 유합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나이, 성별, 골절 부위나 형태, 고 정 방법 등 다른 인자들이 영향을 주는지를 통계학적 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39; no. 4; pp. 366 - 372
Main Authors 배서영(Su Young Bae), 김희천(Hee Chun Kim), 노재영(Jae Young Roh), 이동욱(Dong Woo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장관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흡연이 유합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4년간 장관골 간부 골절로 치료받았던 환자 중 다발성 골절, 심한 분쇄골절, 개방성 골절(grade III 이상), 일부 내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한 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을 흡연군과 비흡연 군으로 나누어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으로 조사한 유합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나이, 성별, 골절 부위나 형태, 고 정 방법 등 다른 인자들이 영향을 주는지를 통계학적 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결 과: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의 유합 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41) 특히 경골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 유합 기간은 흡연군에서 12.54±1.62주, 비흡연군에서는 11.53±2.59주였고 불유합은 흡연군에서 3예, 비흡연군에서 1예가 있었다. 다른 인자들은 유합 기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고 각 소그룹에서는 40-50대연령의 경골 원위 간부에서 흡연의 영향이 뚜렷하였다. 결 론: 흡연은 골절 유합 기간을 연장시키므로 골절 치료시 환자에게 흡연을 중단하도록 권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union time of the long bone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sed eighty-four patients with a long bone shaft fracture who were treated during the last four years. Patients with polytrauma, severe comminuted fracture, open fracture over grade III, ESRD or other internal disease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we separated the groups into smoking and non-smoking groups. Also we observed whether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ion time and other factors such as the age, sex, fracture location and configuration, and method of fixation by using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on time was found between the smoking group and the non-smoking group (p=0.041), especially in the tibia. The average union time was 12.54±1.62 weeks in the smoking group and 11.53±2.59 weeks in non-smoking group. There were three non-union cases in the smoking group and one in the non-smoking group. Other factors appear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s. The negative effect of smoking was more obvious in patients in their 5th and 6th decades with a distal tibia shaft fractures. Conclusion: It seems highly beneficial that patients be recommend to quit smoking while being treated for a fracture, because smoking prolongs the healing time.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908.2004.39.4.017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