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태도-성과관계에서 공정성의 조절효과

기업에서 종업원의 직무태도는 조직의 성과를 예측해 주는 주요한 지표로서 다루어져 왔다. 특히, 직무태도변수로 언급되는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직무만족이 성과예측지표로서 관련문헌에서 자주 언급 된다. 그러나 직무태도-성과사이의 인과적 관련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유형의 연구 과제를 탐색하려 한다. 첫째, 직무태도-성과는 직접적인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는지, 둘째, 직무태도-성과 사이에서 공정성이 조절요인으로서 작동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에서 실제 활용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24; no. 1; pp. 23 - 39
Main Authors 박양규(Park, Yang-Kyu), 박한나(Park, Han-N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2.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기업에서 종업원의 직무태도는 조직의 성과를 예측해 주는 주요한 지표로서 다루어져 왔다. 특히, 직무태도변수로 언급되는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직무만족이 성과예측지표로서 관련문헌에서 자주 언급 된다. 그러나 직무태도-성과사이의 인과적 관련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유형의 연구 과제를 탐색하려 한다. 첫째, 직무태도-성과는 직접적인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는지, 둘째, 직무태도-성과 사이에서 공정성이 조절요인으로서 작동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에서 실제 활용되는 성과평가시스템으로부터 성과데이터를 확보하여 직무태도-성과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고 시도한다. 연구과제의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2009년 9월부터 2010년 5월 초까지 약 8개월에 걸쳐 우편·이메일·방문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성과평가시스템(목표관리· 역량평가·다면평가·근무평정)으로부터 얻어진 점수를 평균하고 환산하여 분석을 위한 개인별 성과자료를 획득하였다. 연구 과제의 검증을 위해 SPSS ver.18의 계층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시민행동을 제외한 조직몰입,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은 성과에 대한 설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정성을 절차 혹은 분배공정성으로 구분하여 직무태도-성과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도 분배공정성이 조직몰입-성과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보인 이외에 직무태도-성과사이에서 공정성의 조절효과는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everal researchers dealt with employee's job attitudes in corporate organizations as performance predictors. In particular, relevant research has focuse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out of job attitudes variables. However, research findings from meta-analysis for last decades showed a weak relation between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could job attitudes be predict real performance? second, does the justice variable in the relation of job attitudes-performance work as a moderator? This study attempts to test empirically research questions with the survey data. The data are taken from a mail survey and interview. The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300 employees in domestic firms located in seoul from September 2009 to May 2010. 105 usable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in Spss ver. 18. The findings indicated that job attitudes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excep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nly the moderator effect of the distributive justi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 KCI Citation Count: 12
Bibliography:G704-000789.2011.24.1.019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