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 요골의 부정 유합으로 인한 원위 요척 관절에서의 척골 두와 요골 간의 위치 변화
=목 적: 저자들은 원위 요골 골절 후 변형이 남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척골 두와 요골 원위부 간의 위치 변화를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축성 단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합을 얻은 원위 요골 골절 환자 중 전방 경사가 정상측에 비해 10도 이상 후방 변형되거나 요골 단축이 2 mm 이상 남은 환자로 전완부 회전 운동에 제한이 없는 24명을 대상으로 양측 완관절에 대해 전완의 위치를 70도 회내전, 중립, 70도 회외전 상태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원위 요골의 S-형 절흔에 대한 척골 두의 전후방 위...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1; no. 6; pp. 953 - 95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2.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 적: 저자들은 원위 요골 골절 후 변형이 남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척골 두와 요골 원위부 간의 위치 변화를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축성 단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합을 얻은 원위 요골 골절 환자 중 전방 경사가 정상측에 비해 10도 이상 후방 변형되거나 요골 단축이 2 mm 이상 남은 환자로 전완부 회전 운동에 제한이 없는 24명을 대상으로 양측 완관절에 대해 전완의 위치를 70도 회내전, 중립, 70도 회외전 상태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원위 요골의 S-형 절흔에 대한 척골 두의 전후방 위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요척골 비를 측정한 후 정상 측과 변형 측을 비교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two-tailed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결 과: 전완부를 회외전한 위치와 중립 위치에서 원위 요골 변형 측의 척골 두가 요골에 대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전방으로 위치하였다. 후방 경사 변형 환자 군에서는 회내전, 중립, 회외전 모두에서 정상측에 비해 척골두가 전방으로 위치 변화된 소견을 보였으며 단축 변형 환자 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6.41.6.002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