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학으로의 이동 요인과 졸업 후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196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정책은 특정 지역에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함으로써,해당지역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으로의 확산효과를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특정 지역에서는 일자리가 창출되고 인구가 집중되는 반면, 그렇지 못한 지역에서는 점차 지역의경쟁력을 잃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불균형한 성장 패턴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최근 50년 동안의 광역경제권별 인구비중의 변화를 살펴보면, 수도권은 1960년 20.8%에서 2010년 49.0%로약 135% 증가한 반면, 호남권 -56%, 강원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49; no. 6; pp. 5 - 16
Main Authors 강은택(Kang, Eun-Taek), 마강래(Ma, Kang-Ra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10.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4.10.49.6.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196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정책은 특정 지역에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함으로써,해당지역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으로의 확산효과를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특정 지역에서는 일자리가 창출되고 인구가 집중되는 반면, 그렇지 못한 지역에서는 점차 지역의경쟁력을 잃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불균형한 성장 패턴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최근 50년 동안의 광역경제권별 인구비중의 변화를 살펴보면, 수도권은 1960년 20.8%에서 2010년 49.0%로약 135% 증가한 반면, 호남권 -56%, 강원권-54%, 충청권 -35%, 대경권 -33%, 동남권 -5%로모든 비수도권 지역(제주권 제외)에서 인구비중이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1)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을 억제하기위해서, 1970년 ‘수도권 인구과밀억제에 관한 기본지침’ 제정, 1982년 ‘수도권정비계획법’ 제정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그 시사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 It has been argu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the uneven distribution of qualityuniversities is one of the main reasons affecting the persistent brain drain in the small cities. In Korea the student out-migration from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non-SMA) has been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greater economic opport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migration from the non-SMA for higher education inthe SMA affects individual economic resources such as income and net wealth, using data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KLIPS). The two consecutive logit models areused to identify the migration propensity for higher education in the SMA and its impact onthe economic resour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siderable proportion of variance ineconomic resources are explained by the migration propensity for a higher education,implying the long-term role of universities in the economic inequalities within the country.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G704-000338.2014.49.6.009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4.10.4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