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관절의 골연골 병변에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과 관절경적 미세 골절술의 결과 비교

목 적: 슬관절의 골연골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과 미세 골절술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상 슬관절의 골연골 병변이 있는 20, 30대 환자들에서 미세 골절술을 시행받은 12명, 12예와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시행받은 9명,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미세 골절술군과 자가 골연골 이식술군이 각각 33.5세, 31.3세였고, 병변의 크기는 각각 12.9×17.4 mm, 16.1×21.4 mm이었다. 임상적 결과를 활동도, 기능도, 주관적 만족도, 통증의 정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4; no. 3; pp. 320 - 328
Main Authors 이동철(Dong Chul Lee), 손욱진(Ook Jin Sohn), 성민철(Min Chul S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슬관절의 골연골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과 미세 골절술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상 슬관절의 골연골 병변이 있는 20, 30대 환자들에서 미세 골절술을 시행받은 12명, 12예와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시행받은 9명,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미세 골절술군과 자가 골연골 이식술군이 각각 33.5세, 31.3세였고, 병변의 크기는 각각 12.9×17.4 mm, 16.1×21.4 mm이었다. 임상적 결과를 활동도, 기능도, 주관적 만족도, 통증의 정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최종 추시시의 자기공명 촬영을 통해 골연골 병변의 회복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 과: 활동도에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군이 조금 더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기능도에서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군이 조금 더 우수하였다(p<0.05). 주관적 만족도와 통증의 정도는 두 군이 동일하였다. 자기공명 촬영상 골연골 병변의 회복은 자가 연골 이식술군에서 좀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p<0.05). 결 론: 활동이 많은 젊은 나이의 슬관절 골연골 병변의 경우에 있어 두 술식 모두 치료의 효과가 긍정적이었지만, 자가 골연골 이식술이 좀 더 추천할만한 치료법이라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after osteochondral autologous transplantation(OAT) and arthroscopic microfracture for treating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2 cases (12 patients) of arthroscopic microfracture and 10 cases(9 patients) of OAT. The mean patient ages were 33.5 years in the microfracture group and 31.3 years in the OAT group.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1.1 months. The mean lesion sizes were 12.9×17.4mm in the microfracture group and 16.1×21.4 mm in the OAT group. We compared clinical results using the Tegner activity score, the Lysholm knee scoring scale, the IKDC and the VAS. MRI was used to determine the recovery of the osteochondral lesions at last follow-up.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the Tegner Activity Score. Regarding the Lysholm Knee Scoring Scale, the OAT group had a better overall score than did the microfracture group (p<0.05). Both groups had similar results for the IKDC and VAS. The MRI at the last follow-up showed cartilage recovery in 53% of the microfracture cases (compared to the surrounding cartilage) and in 96.1% of the OAT cases. Conclusion: Microfracture and OAT both offered good clinical results when used to treat active persons in the 3rd or 4th decades of life and who have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knee. However, OAT led to better cartilage recovery on MRI, as well as to better functional results. Therefore, OAT is the recommended method of treatment.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09.44.3.008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