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소실된 양측성 견갑흉부 점액낭염

견갑흉부 점액낭염은 견관절 운동시 통증과 골성 탄발음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탄발성 견갑 증후군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견관절 불쾌감의 한 원인이기도 하다. 견갑흉부 점액낭염의 원인은 견갑골이나 늑골의 돌출과 같은 골성 변화로 인한 견갑주위 조직의 만성 반복적인 기계적 자극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보존적 치료가 우선시되며, 그 결과는 성공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통증, 과도한 마찰, 기능 부전 등이 동반될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6; no. 1; pp. 73 - 77
Main Authors 손강민(Kang Min Sohn), 문동규(Dong Gyu Moon), 성창민(Chang Min Sung), 최필엽(Pil Yeob Choi), 박형빈(Hyung Bi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2.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견갑흉부 점액낭염은 견관절 운동시 통증과 골성 탄발음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탄발성 견갑 증후군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견관절 불쾌감의 한 원인이기도 하다. 견갑흉부 점액낭염의 원인은 견갑골이나 늑골의 돌출과 같은 골성 변화로 인한 견갑주위 조직의 만성 반복적인 기계적 자극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보존적 치료가 우선시되며, 그 결과는 성공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통증, 과도한 마찰, 기능 부전 등이 동반될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무통성으로 탄발음의 동반없이 급속히 커졌다가 관찰도중 자연 소실된 양측성 견갑흉부 점액낭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Scapulothoracic bursitis causes snapping scapular syndrome, which is characterized by shoulder pain accompanying bony crepitation during shoulder motion, or as an isolated entity causing shoulder discomfort. The pathogenesis of scapulothoracic bursa formation is thought to be related to chronic repetitive mechanical stress on the periscapular tissue, usually from the result of a bone abnormality (a protrusion of the scapula or rib cage). Scapulothracic bursitis is treat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and the result can be successful. Accurate diagnosis is important because surgery is not necessary except for cases with pain, excessive friction, or dysfunction. We report a patient with rapidly developed bilateral scapulothoracic bursitis without pain and snapping, which can be confused with a soft tissue sarcoma. In this case, conservative management was used to treat the patient.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908.2011.46.1.009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