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부엉이(Bubo bubo)의 서식밀도 관찰 보고

수리부엉이 서식 현황의 정밀한 파악을 위해서 주간 및 야간조사를 시행한 결과, 2009년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 석모도, 볼음도에서 9곳, 2010년 강원도 횡성군, 평창군, 영월군 일대의 32곳에서 수리부엉이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과거에 본 조사지역에서 보고된 서식밀도 현황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절벽지대가 적은 섬에서는 야간에 사냥터에 나온 개체를 조사하는 방법,강원도 지역에서는 낮 시간대에 절벽지역을 자세히 관찰하는 방법이 효율적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야행성 맹금류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방법이 진행된다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류학회지 Vol. 18; no. 1; pp. 11 - 16
Main Authors 김동원(Dong-Won Kim), 강종현(Jong-Hyun Kang), 서재화(Jae-Hwa Su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류학회 01.03.2011
한국조류학회II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179
2586-68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수리부엉이 서식 현황의 정밀한 파악을 위해서 주간 및 야간조사를 시행한 결과, 2009년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 석모도, 볼음도에서 9곳, 2010년 강원도 횡성군, 평창군, 영월군 일대의 32곳에서 수리부엉이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과거에 본 조사지역에서 보고된 서식밀도 현황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절벽지대가 적은 섬에서는 야간에 사냥터에 나온 개체를 조사하는 방법,강원도 지역에서는 낮 시간대에 절벽지역을 자세히 관찰하는 방법이 효율적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야행성 맹금류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방법이 진행된다면, 서식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rough the diurnal and nocturnal survey for Eurasian Eagle Owls Bubo bubo, we found them in 9 times in Gyodong, Seokmo, Boleum Island in 2009, and 32 times in Gangwon Province in 2010. The densities of Eurasian Eagle Owls in both inland areas of Gangwon Province and islands of Ganghwa-Gun were higher than those previously examined. In the islands, which have small number of cliff, the nocturnal survey were effective, whereas in Gangwon Province, the diurnal survey at cliff area could show many individuals and fecal traces. These results show that various methods for the nocturnal bird of prey are needed for the exact status of them including Eurasian Eagle Owl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SER000010068.2011.18.1.003
ISSN:1225-9179
2586-6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