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 윌리암슨의 에스라 - 느헤미야서 편집가설 재고
많은 이들에 의해 수용되고 있는 휴 윌리암슨의 <에스라-느헤미야서>의 편집가설은 2008년에 Unity and Disunity in Ezra-Nehemiah가 출판됨으로써 좀 더 확고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에스라-느헤미야서>가 <에스라서>와<느헤미야서> 두 권이 아닌 한 권으로 된 “단일작품”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해 주었는데, 그의 가설은 <에스라-느헤미야서>가 단일작품이라는 전제 하에 입안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학계에서 영...
Saved in:
Published in | Changsin nondan Vol. 38; pp. 41 - 6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01.08.2010
장로회신학대학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390 2713-7554 |
Cover
Summary: | 많은 이들에 의해 수용되고 있는 휴 윌리암슨의 <에스라-느헤미야서>의 편집가설은 2008년에 Unity and Disunity in Ezra-Nehemiah가 출판됨으로써 좀 더 확고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에스라-느헤미야서>가 <에스라서>와<느헤미야서> 두 권이 아닌 한 권으로 된 “단일작품”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해 주었는데, 그의 가설은 <에스라-느헤미야서>가 단일작품이라는 전제 하에 입안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학계에서 영향력 있는 윌리암슨의 편집 가설을 비판적으로 재고해 보고 평가함으로써 <에스라-느헤미야서>의 형성과 관련된 논의에 초석을 놓는 계기를 삼으려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윌리암슨의 편집 가설을 소개한다. 그에 의하면 <에스라-느헤미야서>는 ‘집필’되기보다는 ‘편집’되었다. <에스라-느헤미야서> 안에자료가 80%를 상회하기 때문이다. 이 자료들은 어떻게 편집되었는가? 이에 대해윌리암슨은 두 단계 편집 가설을 제시한다. 통상 많은 학자들이 <에스드라 1서>에근거해 느헤미야 자료가 가장 마지막에 첨가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윌리암슨이 보기에 <에스드라 1서>는 <에스라-느헤미야서>의 형성사를 논하는데 자료로서 사용될 수 없다. 한편 윌리암슨은 바벨론에서의 귀환자 명단이 에스라 2장과 느헤미야7장에 동시에 기록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이 명단은 본래 이어지는 기사를 위해 작성된 것이므로 에스라 3장과 느헤미야 8장 두 곳 모두를 위해 작성된 것으로 볼 수없다. 윌리암슨의 분석에 의하면 에스라 2장이 느헤미야 7장에서 빌려온 것인데,“느헤미야 자료”에 속하는 7장은 “에스라 자료”인 느헤미야 8장과 긴밀히 결합되어 있다. 이것은 느헤미야 7장을 참고한 에스라 2장의 편집자는 에스라 자료와 느헤미야 자료가 이미 결합된 것을 알고 있었다는 의미가 된다.
이런 관찰을 통해 윌리암슨은 <에스라-느헤미야서>가 두 단계 편집 과정을 거쳐 형성됐다고 본다. 곧 첫 번째 단계는 주전 400년경에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업적을 널리 알리려는 목적 하에 기존의 자료들을 모아 “에스라 7장~느헤미야 13장”을편집했다. 두 번째 단계는 예루살렘에서 예배를 드리는 이들만이 과거 솔로몬 성전의 합법적인 계승자임을 강조하려는 목적으로 주전 300년경에 예루살렘 제사장들에 의해 “에스라 1~6장”을 편집했고 “에스라 7장~느헤미야 13장”에 서론으로 첨부하여 현재의 <에스라-느헤미야서>가 되었다고 본다.
윌리암슨의 이러한 두 단계 편집 가설은 일부 설득력 있는 설명도 있다(가령,<에스드라 1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등). 하지만 재고되어야 할 여러 문제점들이있다. 본 글은 윌리암슨 가설의 문제점들을 세 가지로 제시한다: (1) 느헤미야 7장이 에스라 2장에 선행한다는 근거의 문제점들; (2) 100여 년간의 시차를 둔 두 편집층 사이의 모호한 관계; (3) 기독교 정경전승은 “에스라 1~6장”과 “에스라 7장~느헤미야 13장”의 구분보다, “에스라 1~10장”과 “느헤미야 1~13장”을 선호했다는 점.
이런 지적은 <에스라-느헤미야서>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되, 윌리암슨이 제시한 두 단계 편집 가설보다는 오히려 “단번에” 형성되었을 가능성과 <에스라-느헤미야서> 전체에 일관되고 흐르고 있는 사상-친(親)레위적 성향 등-을 모색해 보는 작업이 필요함을 과제로 남긴다. The time is now ripe for appraisal of Hugh Williamson’s theory on the composition of Ezra-Nehemiah(=EN). The theory has been built up on a premise that EN is a single work, and recently backed up by a book titled 『Unity and Disunity in Ezra-Nehemiah』(2008), declaring that EN is a single unified book, not separate two books.
His theory has been widely accepted and seems to be continuously so. In my opinion,it is somewhat overrated, however. This article, therefore, aims to revisit and critically examine his theory, expecting that our discussion may lay the cornerstone for following studies on how Ezra-Nehemiah was composed.
In order to fulfill this purpose we first outline Williamson’s view and then evaluate it. Williamson figures out a great deal of material in EN and maintains that the book was not penned but compiled. How, why, and by whom, then, was it compiled?He begins his examination on the basis of one fundamental observation: Ezra 2 is dependent upon Neh 7. More specifically, since “Nehemiah 7~8 is the point at which the originally independent accounts concerning Ezra and Nehemiah have been most clearly interwoven”, we have no choice but to conclude both that the editor responsible for Ezra 2 must have known the existing editorial body which encompasses Ezra 7 to Neh 13 in its present form, and that there were two major editorial stages: one for Ezra 7~Neh 13 and the other for Ezra 1~6. Furthermore he insists that the incorporation of the Ezra and Nehemiah materials (Ezra 7~Neh 13) was initiated in approximately 400 BCE. As for the second editorial part (Ezra 1~6), Williamson argues that it was composed around 300 BCE by an editor belonging to a priestly group who lightly redactced the books of Chronicles.
Having outlined Williamson’s theory, we go to evaluate it. The theory is based on a thorough exploration as shown above and appears quite compelling in some respects.
However, following problems compel us to formulate a new theory: (1) firstly,there is no persuasive reason why Ezra 2 depends on Neh 7. As Blenkinsopp well pinpoints,Williamson’s view requires textual emendation; (2) secondly, if Ezra 1~6 may have originated from a priestly group,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ditorial bodies is unclear because of lack of consistent ideology; (3) lastly, canonical traditions have never divided EN into Ezra 1~6 and Ezr 7~Neh 13.
This article is not intended to replace Williamson’s theory with an alternative. At least, however, it discloses its necessity and offers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it.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SER000008562.2010..38.007 |
ISSN: | 1229-1390 2713-75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