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의 『효경』 이해
삼국시대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효경(孝經)』은 통일신라와 고려에서 국학 교육과 인재 선발의 핵심 경서로 중시되었다. 이는 한당대(漢·唐代) 『효경』의 ‘가천하(家天下) 정치론’과 ‘효치론(孝治論)’이 왕권 강화와 국왕 중심의 관료체제 확립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던 조선에서는 정치이론의 경전적 근거를 『대학(大學)』에서 찾았다. 따라서 『효경』의 정치이론서로서의 위상은 점차 상실되었고, 그 결과 『효경』은 유교의 핵심 윤리인 효의 규범을 담고 있는 아동의 기초 학습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Vol. 35; no. 1; pp. 7 - 3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학중앙연구원
01.03.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71-8197 2733-936X |
DOI | 10.25024/ksq.35.1.201203.7 |
Cover
Summary: | 삼국시대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효경(孝經)』은 통일신라와 고려에서 국학 교육과 인재 선발의 핵심 경서로 중시되었다. 이는 한당대(漢·唐代) 『효경』의 ‘가천하(家天下) 정치론’과 ‘효치론(孝治論)’이 왕권 강화와 국왕 중심의 관료체제 확립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던 조선에서는 정치이론의 경전적 근거를 『대학(大學)』에서 찾았다. 따라서 『효경』의 정치이론서로서의 위상은 점차 상실되었고, 그 결과 『효경』은 유교의 핵심 윤리인 효의 규범을 담고 있는 아동의 기초 학습서로만 남게 되었다.
조선에서 읽힌 『효경』텍스트는 16세기 중반까지 『금문효경(今文孝經)』에 기반한 텍스트가 주를 이루다가, 16세기 중반 이후 주희(朱熹)의 『효경간오(孝經刊誤)』, 동정(董鼎)의 『효경대의(孝經大義)』 등 성리학의 『효경』 텍스트들이 간행·보급되면서 면모를 일신하였다. 하지만 『효경간오』나 『효경대의』가 간행·보급된 후에도 조선의 학자들은 한당대 『효경』 이론에 대한 주희의 비판적 인식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해가 없었다. 이는 『효경』의 위상이 아동의 기초 학습서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학자들이 『효경』을 이론적으로 깊이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한편 『효경』은 왕실에서도 기초 학습 교재로 사용되었다. 그중 가장 중요했던 것은 원자·세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으로, 교육 대상자가 미래의 국왕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기초 교육을 넘어 장래의 군왕이 갖추어야 할 자질과 덕목을 기르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Hyogyŏng was valued as a core subject of education at National School and selection government officials in Unified Silla and Koryeo. Because the political theory of governing state through filial piety based on Hyo gyŏng could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political reform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nd bureaucracy which was promoted in Unified Silla and Koryeo. Whereas in Joseon, Neo Confucianism w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government and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 for political theory was Daehak. As a result Hyogyŏng lost the status for the book of political theory and remained merely a basic subject about the principle of filial piety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By the mid 16th century the Hyogyŏng texts read in Joseon were the ones which were based on GeummunHyogyŏng. After the mid 16th century Neo Confucian Hyogyŏng texts such as Hyogyŏng kano written by Chu Hsi and Hyogyŏng taŭi written by Dong Ding were published and disseminated. But despite the dissemination of Hyogyŏng kano and Hyogyŏng taŭi Joseon scholars didn’t understand Chu Hsi’s critical view on the political theory of governing state through filial piety. Because they viewed Hyogyŏng as a basic subject for juvenile education so they didn’t study Hyogyŏng in depth.
Hyogyŏng was used as a basic textbook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at royal family. Especially for the crown prince who would be a king in the future, the education of Hyogyŏng laid emphasis on cultivating the abilities and virtues for a king. KCI Citation Count: 10 |
---|---|
Bibliography: | G704-000772.2012.35.1.007 |
ISSN: | 2671-8197 2733-936X |
DOI: | 10.25024/ksq.35.1.20120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