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gate anaerobic test 시 검사자의 Shouting 환경이 무산소성파워 변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Wingate anaerobic test 시 검사자의 Shouting 조건으로 무기합, 미리 녹음된 동일한 기합, 측정자 성별에 의한 기합에 따른 결과차이를 규명하여, 무산소성파워능력 측정 피험자의 최대파워 도출 및 반복측정 시 최대한 동일한 환경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최근 심ㆍ폐계 및 근ㆍ골ㆍ격계에 이상이 없는 체육학과 대학생 12명으로 하였으며, 측정은 3일 간격으로 총 8회 저녁시간 대로 하여, 최대한 동일한 시간에 측정 하였다. 측정 시 shouting 조건은 1) 무기합, 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13; no. 1; pp. 79 - 89
Main Authors 손태열(Tae Yeol Son), 김성연(Sung Yeo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3.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11.13.1.00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Wingate anaerobic test 시 검사자의 Shouting 조건으로 무기합, 미리 녹음된 동일한 기합, 측정자 성별에 의한 기합에 따른 결과차이를 규명하여, 무산소성파워능력 측정 피험자의 최대파워 도출 및 반복측정 시 최대한 동일한 환경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최근 심ㆍ폐계 및 근ㆍ골ㆍ격계에 이상이 없는 체육학과 대학생 12명으로 하였으며, 측정은 3일 간격으로 총 8회 저녁시간 대로 하여, 최대한 동일한 시간에 측정 하였다. 측정 시 shouting 조건은 1) 무기합, 2) 87db의 동일한 기합, 3) 성별에 의한 남자와 여자의 기합으로 분류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shouting 종류별로 2회 반복측정을 실시한 결과 최대피크파워(PP), 평균파워(MP) 결과 모두에서 shouting 종류와 2회 반복측정에 따라 조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간 95% 신뢰구간 내 차이값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Peak Power(PP)와 Mean Power(MP) 모두에서 측정자의 성별에 따른 여자의 기합에서 가장 큰 오차 범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 결과와 현장에서의 다양한 피험자를 측정 해온 경험으로 wingate anaeorbic test 시 shouting 환경이 측정결과에 다양한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되며, 이와 같은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매 측정 시 마다 동일화된 기계적 음성 또는 최대한의 shouting 환경을 통일 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esters’shouting environment on the anaerobic muscular power outcom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university students specialized in physical exercise with no problem in cardiac, pulmonary system and muscular and skeletal system and total six tests were done for 3 days interval. Among them, same shouting test was carried out with a sound measurement system. And after checking out the decibel level that has been normally used, shouting was recorded in a CD player and played with “go” shouting. Using an excalibur sport, Wingate test was conducted for maximum exercise with 0.75/kg loads for 30 seconds after 2 minutes warm-up. The varying PP and MP outcomes in WAnt by different shouting environments are as follows: In all PP and MP outcomes, SS(same sound) had generally higher anaerobic power than NS(none sound) and M&FS(male&female sound) and the both PP and MP, there was a mutual interaction effect between kinds of shouting(p<.01, p<.01). In addition, the outcomes of bland & altman by female items, MP had highest confidence interval of 95% with repeated measurement. To sum up the above outcomes, it reveals that there is some difference in outcomes by different shouting environment during WAnt. In particular, it appears that if operator’s gender was changed, the volume of shouting sound and the voice itself differed so that it generated a larger gap. Also, it confirms that shouting is an important factor to draw out the maximum anaerobic power, and it deems important to have an identical condition for environments such as shouting volume and temp, etc so as to minimize any errors occurring in repeated measurement.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1680.2011.13.1.008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11.13.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