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의 형태와 지속시간이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과 운동형태에 따라 운동 전후의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인천시에 소재한 L 스포츠 센타의 회원 192명(남자 90명, 여자 1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기분상태의 변화는 기분상태검사지(POMS: Profile of mood states)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종속 t-test를 이용하여 성과 운동형태, 지속기간과 연령대별로 운동전후의 기분상태를 비교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관계없이 운동을 수행하면 운동을 수행하기 전보다 기분상태가 긍정적으로 전환된다....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7; no. 1; pp. 1 - 1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6.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과 운동형태에 따라 운동 전후의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인천시에 소재한 L 스포츠 센타의 회원 192명(남자 90명, 여자 1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기분상태의 변화는 기분상태검사지(POMS: Profile of mood states)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종속 t-test를 이용하여 성과 운동형태, 지속기간과 연령대별로 운동전후의 기분상태를 비교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관계없이 운동을 수행하면 운동을 수행하기 전보다 기분상태가 긍정적으로 전환된다. 둘째, 유산소 운동이 무산소 운동보다 긍적적인 기분상태로 전환시키는데 효율적이다. 셋째, 기분상태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60분 이상 운동을 지속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od state change before and after exercising according to the sex, type of exercise, duration, and age. A total of 192 subjec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including both male(n=90) and female(n=102) participants from L sport center in In Cho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aired t-test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ing according to the sex, type of exercise, duration, and ag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results attained in these analyses. First, the mood states after exercising were changed positively than before exercising regardless of sex. Second, aerobic activity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changes in mood than were anaerobic activity. Third, the physical activity were continued more than 1 hour to change the mood states positively.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G704-001680.2005.7.1.003 |
ISSN: | 1229-4225 2671-9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