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闡義昭鑑諺解』의 異本에 대한 고찰

한문본인 闡義昭鑑에 대한 언해인 闡義昭鑑諺解는 필사본과 목판본의 두 이본이 존재한다. 본고는 텍스트의 구조, 번역, 그리고 문법의 관점에서 闡義昭鑑諺解의 필사본과 목판본을 비교ㆍ고찰하였다. 번역의 형식적 측면인 텍스트의 체제를 보면 한문본과 필사본이 유사하지만, 텍스트 구분 표지를 통해서 드러나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한문본과 목판본이 유사하며, 주석이 반영되는 양상에서도 목판본이 한문본을 더 잘 반영한다. 필사본의 번역은 한자어나 한문 구조가 노출되는 직역의 경향을 보이는데, 이두식 단어의 빈번한 사용은 목판본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Vol. 33; no. 4; pp. 95 - 121
Main Author 이지영(Lee Ji-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학중앙연구원 01.12.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71-8197
2733-936X
DOI10.25024/ksq.33.4.201012.9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한문본인 闡義昭鑑에 대한 언해인 闡義昭鑑諺解는 필사본과 목판본의 두 이본이 존재한다. 본고는 텍스트의 구조, 번역, 그리고 문법의 관점에서 闡義昭鑑諺解의 필사본과 목판본을 비교ㆍ고찰하였다. 번역의 형식적 측면인 텍스트의 체제를 보면 한문본과 필사본이 유사하지만, 텍스트 구분 표지를 통해서 드러나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한문본과 목판본이 유사하며, 주석이 반영되는 양상에서도 목판본이 한문본을 더 잘 반영한다. 필사본의 번역은 한자어나 한문 구조가 노출되는 직역의 경향을 보이는데, 이두식 단어의 빈번한 사용은 목판본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필사본과 목판본은 한문본의 통사구조에 대한 이해가 달라서 번역이 달라지는 경우도 많지만, 이에 대해 어떤 일반적인 경향을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부정문의 번역에서는 목판본은 한문본의 이중부정문을 그대로 번역하는 반면, 필사본은 이를 긍정문으로 번역하는 경향을 드러낸다. 또한 한문본에서 긍정문으로 기술된 예를 목판본과 필사본 모두 ‘확인의문’의 기능을 드러내는 부정의문문으로 번역하는 것도 특징적인데, 이것은 주로 공초, 특히 면질의 상황과 관련된 문맥에서 나타난다. 목판본과 필사본은 모두 근대국어 문법의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데, 특히 인용문의 다양한 양상은 이들에서 특히 주목되는 점이다. 문법적인 측면에서 필사본과 목판본의 차이는 주격조사 ‘‒겨오셔/샤’나 ‘‒가’, 종결어미 ‘‒이다, ‒다, ‒데다’가 필사본에만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Cheonuisogam, a version in classical Chinese, has two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in Korean, Cheonuisogameonhae: a hand-written version and a woodblock-printed version. This article compared two versions and discussed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m in terms of translation and grammar. In formal aspect of translation, namely text structures, a hand-written version is more similar to a version in classical Chinese than a woodblock-printed version. In substantial aspect, especially text content divided by various division markers of text, reflections of notes, etc., a woodblock-printed version is more similar to a version in classical Chinese than a hand-written version. A hand-written tends to translate a version in classical Chinese literally, and use words of Idu-style which isn’t found in a woodblock-printed version. It’s difficult to find a general tendency in translations of sentences because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sentences of a version in classical Chinese between two versions in Modern Korean. However, double negative sentences are translated into affirmative sentences in a hand-written version, but not in a woodblock-printed version. Besides both a hand-written version and a woodblock-printed version translate affirmative sentences used in contexts of cross-examine into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which have a function of check question. Amo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grammar in Modern Korean found in these versions, it’s noteworthy that two versions in Modern Korean show complicated structures of quoted sentences and only a hand-written version shows subject particles, ‘-kyʌosheo/kyʌosha, -ka’, declarative sentence endings, ‘-sʌpnʌiita, -sʌpnʌita, -teoita’.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G704-000772.2010.33.4.004
ISSN:2671-8197
2733-936X
DOI:10.25024/ksq.33.4.20101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