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Lipoprotein(a) 농도에 대한 피브린산 유도체의 효과

배경 및 목적: 지단백(a)[Lp(a)]는 다른 지질이나 지단백과는 달리 식이 및 운동요법 등의 비약물요법이 농도를 저하시키지 못하며, 니코틴산은 농도를 저하시키나, 다른 지질강하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거나 논란이 있다. 특히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서 피브린산 유도체의 효과를 연구한 보고는 드물며, 이들도 대상자 수가 적고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 피브린산 유도체를 투여하여 Lp(a)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중성지방 농도가 30 mg/dL 이상이거나, 중성지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30 - 36
Main Authors 김성진, 이경은, 이성호, 정갑성, 이광제, 김태호, 고홍숙, 김치정, 류왕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1.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520
1738-55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 지단백(a)[Lp(a)]는 다른 지질이나 지단백과는 달리 식이 및 운동요법 등의 비약물요법이 농도를 저하시키지 못하며, 니코틴산은 농도를 저하시키나, 다른 지질강하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거나 논란이 있다. 특히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서 피브린산 유도체의 효과를 연구한 보고는 드물며, 이들도 대상자 수가 적고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 피브린산 유도체를 투여하여 Lp(a)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중성지방 농도가 30 mg/dL 이상이거나, 중성지방 농도가 20 mg/dL 이상이면서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40 mg/dL 이하인 환자를 대상으로 fenofibrate 20 mg 이나 gemfi-brozil 60 mg을 투여한 피브린산군(n=29)과 약제를 투여하지 않고 식이요법 등의 비약물요법만을 시행한 대조군(n=29)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또한 나이와 성별이 비슷하면서 콜레스테롤 농도가 220 mg/dL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20 mg의 lovastatin이나 10 mg의 atorvastatin을 투여한 스타틴군(n=29)을 다른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투약전과 투약후 2개월에 지질과 지단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치료 전에 피브린산군의 Lp(a)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며(10.3±16.4 mg/dL vs 18.5±33.4 mg/dL, p=0.19), 중성지방 농도도 두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35). 2개월 간의 피브린산 유도체의 치료는 Lp(a)의 농도를 10.3±16.4 mg/dL에서 15.1±15.2 mg/dL로 47% 증가시켰으며(p=0.003), 대조군과 스타틴군에서는 치료 전후에 변화가 없었다(각각 p=0.67, p=0.76). 치료 전의 Lp(a) 농도는 중성지방의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36, p=0.001), 치료 후에는 상관관계가 없어졌다(r=-0.21, p=0.055). 치료 전후에 Lp(a) 농도의 절대치 변화는 중성지방 농도의 절대치 변화와 전체 대상(r=-0.35, p=0.001)과 피브린산군(r=-0.46, p=0.013)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중성지방의 농도가 더 많이 감소할수록 Lp(a) 의 농도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중성지방의 농도가 Lp(a)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실험에서는 예측되는 Lp(a) 농도와 측정되는 Lp(a)의 농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지질 저하제로 흔히 사용되는 피브린산 유도체는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혈중 Lp(a)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이는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량과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런 현상은 피브린산 유도체가 스타틴과 비교하여 심장질환 예방효과가 적은 것과도 일부 상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other lipids and lipoproteins. Most reports on the efect of fibrate on the Lp (a) level have only a few cases, with in -consistent resul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ibrate on the Lp (a) level in hypertriglyceridemic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 :Patients with either a triglyceride (TG) level over 300 mg/dL or TG level over 200 fibrate (Fibrate group, n=29) or general measures (Control group, n=29). Gender and age matched patients with hyperc-holeste -rolemia were adopted and treated with statin (Statin group, n=29). The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medication for 2 months. Results:The baseline Lp (a) levels were similar betwen the Fibrate and Control groups (p=0. 1 10.3± 16.4 to 15.1± 15.2 mg/dL (p=0.003), but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Lp (a) levels in the Statin and Control groups. Before the treatment, the Lp (a) leve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G levels (r=-0.36, p=0.0 1). The relationship became weaker and insignificant after the medication. The more the TG level was decreased, the more the Lp (a) level was increased in al of the cases (r=-0.35, p=0.0 1 13). Conclusion :Fibrate increased the Lp (a) level, and this elevation was a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TG level. This finding might be related with a leser cardio -protective effect of fibrate than that of statin in addition to the effect on the cholesterol level.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708.2005.35.1.006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