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허혈성 가역성 좌심부전 환자의 임상적 경과 및 영향 요인

배경 및 목적: 임상적으로 비 허혈성 좌심부전이 가역적으로 회복되는 경우 를 간혹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회복된 상태의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에 대한 적절한 치료 후 가역적으로 회복된 비 허혈성 좌심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울혈성 심부전이 임상적으로 회복되고 좌심실 구혈률이 정상화 되더라도, 재발 성 좌심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가정 하에 이들의 임상 적 경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방 법: 임상적 평가와 심 초음파 소견 상 가역적 회복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53 - 59
Main Authors 문정근, 임세중, 심재민, 안철민, 강신애, 박성하, 최의영, 고영국, 강석민, 하종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1.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520
1738-5555

Cover

Loading…
Abstract 배경 및 목적: 임상적으로 비 허혈성 좌심부전이 가역적으로 회복되는 경우 를 간혹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회복된 상태의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에 대한 적절한 치료 후 가역적으로 회복된 비 허혈성 좌심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울혈성 심부전이 임상적으로 회복되고 좌심실 구혈률이 정상화 되더라도, 재발 성 좌심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가정 하에 이들의 임상 적 경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방 법: 임상적 평가와 심 초음파 소견 상 가역적 회복을 보인 비 허 혈성 좌심부전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심부전의 최초 진단 시 NYHA(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가 III 혹은 IV였으며, 심 초음파상 좌심실 구혈률은 40% 미만이 었고, 전체 추적 관찰 기간은 48.4±15.3개월이었다. 이들 중 남자는 32명, 여자는 18명이었고 나이는 54.9±12.4세였으며, 최초 진단 시 좌심실 구혈률을 28.8±7.2%였다. 결 과: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 질환으로는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 이 3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알콜에 의한 확장성 심근증 7명,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확장성 심근증이 2명, 빈맥에 의한 심근증이 2명이었다. 이들은 심부전에 대한 적절한 치료 를 시작하고 나서 16.9±13.9개월 만에 좌심실 구혈률이 개 선되었으며(좌심실 구혈률>40% 및 절대적으로 10% 이상의 개선) 심부전의 증상은 모두 호전되었고, 이후 27.1±2.9개월 간 추적 관찰하였다. 하지만 모두 9명의 환자에게서 46.6± 31.7개월 만에 좌심 기능의 재 악화가 발생하였는데, 이들에게 는 감염, 알콜 남용 등의 심부전을 일시적으로 악화시킬 수 있는 특기할 만한 임상적 이유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이들 중 5명은 심부전의 회복 후 항 심부전 약물을 중단한 환자들이었 다. 좌심 기능의 재 악화에는 항 심부전 약물의 중단 여부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 론: 가역적으로 회복된 비 허혈성 좌심부전 환자들은, 좌심 기능 의 재 악화에 따른 재발성 심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또한 좌심 기능의 회복 후에도 항 심부 전 약물의 지속적 투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About 25% of the patients with non-ischemic left ventricular (LV) systolic dysfunctionwill improve spontaneously.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fate of the patients stricken withheart failure after recovery from LV dysfunc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patients who recovered from nonischemicLV dysfunction have a substantial risk for recurrent heart failure. Subjects and Methods:Fifty patients(32 males, mean age: 54.9±12.4 years) who recovered from systolic heart failure (LV ejection fraction; an EF of28.8±7.2% at the initial presentation) to near-normal (LVEF >40% and a 10% or more increase in the absolutevalue) were monitored for the recurrence of heart failure. Patients with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wereexcluded. The etiologies of heart failure were idiopathic dilated cardiomyopathy (n=39), alcoholic cardiomyopathy(n=7), adriamycin-induced cardiomyopathy (n=2), and tachycardia-induced cardiomyopathy (n=2). Afterrecovery of LV dysfunction,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ean of 41.0±26.3 months. Results:In 9patients (18%), the LV systolic dysfunction recurred during follow-up (LVEF 32.6±7.3%). There was no significantdifference in the baseline clinical and echocardiographic variables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recurrentheart failure. However, cessation of anti-heart failure medicat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patients with recurrent LV systolic dysfunction (55.6% vs 4.9%, respectively, p<0.05). Conclusion:Recurrentheart failure may ensue in the patients with reversible non-ischemic LV systolic dysfunction. The maintenance ofanti-heart failure medication in these patients may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for their clinical prognosis.(Korean Circulation J 2006;36:53-59)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배경 및 목적: 임상적으로 비 허혈성 좌심부전이 가역적으로 회복되는 경우 를 간혹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회복된 상태의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에 대한 적절한 치료 후 가역적으로 회복된 비 허혈성 좌심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울혈성 심부전이 임상적으로 회복되고 좌심실 구혈률이 정상화 되더라도, 재발 성 좌심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가정 하에 이들의 임상 적 경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방 법: 임상적 평가와 심 초음파 소견 상 가역적 회복을 보인 비 허 혈성 좌심부전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심부전의 최초 진단 시 NYHA(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가 III 혹은 IV였으며, 심 초음파상 좌심실 구혈률은 40% 미만이 었고, 전체 추적 관찰 기간은 48.4±15.3개월이었다. 이들 중 남자는 32명, 여자는 18명이었고 나이는 54.9±12.4세였으며, 최초 진단 시 좌심실 구혈률을 28.8±7.2%였다. 결 과: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 질환으로는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 이 3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알콜에 의한 확장성 심근증 7명,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확장성 심근증이 2명, 빈맥에 의한 심근증이 2명이었다. 이들은 심부전에 대한 적절한 치료 를 시작하고 나서 16.9±13.9개월 만에 좌심실 구혈률이 개 선되었으며(좌심실 구혈률>40% 및 절대적으로 10% 이상의 개선) 심부전의 증상은 모두 호전되었고, 이후 27.1±2.9개월 간 추적 관찰하였다. 하지만 모두 9명의 환자에게서 46.6± 31.7개월 만에 좌심 기능의 재 악화가 발생하였는데, 이들에게 는 감염, 알콜 남용 등의 심부전을 일시적으로 악화시킬 수 있는 특기할 만한 임상적 이유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이들 중 5명은 심부전의 회복 후 항 심부전 약물을 중단한 환자들이었 다. 좌심 기능의 재 악화에는 항 심부전 약물의 중단 여부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 론: 가역적으로 회복된 비 허혈성 좌심부전 환자들은, 좌심 기능 의 재 악화에 따른 재발성 심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또한 좌심 기능의 회복 후에도 항 심부 전 약물의 지속적 투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About 25% of the patients with non-ischemic left ventricular (LV) systolic dysfunctionwill improve spontaneously.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fate of the patients stricken withheart failure after recovery from LV dysfunc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patients who recovered from nonischemicLV dysfunction have a substantial risk for recurrent heart failure. Subjects and Methods:Fifty patients(32 males, mean age: 54.9±12.4 years) who recovered from systolic heart failure (LV ejection fraction; an EF of28.8±7.2% at the initial presentation) to near-normal (LVEF >40% and a 10% or more increase in the absolutevalue) were monitored for the recurrence of heart failure. Patients with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wereexcluded. The etiologies of heart failure were idiopathic dilated cardiomyopathy (n=39), alcoholic cardiomyopathy(n=7), adriamycin-induced cardiomyopathy (n=2), and tachycardia-induced cardiomyopathy (n=2). Afterrecovery of LV dysfunction,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ean of 41.0±26.3 months. Results:In 9patients (18%), the LV systolic dysfunction recurred during follow-up (LVEF 32.6±7.3%). There was no significantdifference in the baseline clinical and echocardiographic variables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recurrentheart failure. However, cessation of anti-heart failure medicat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patients with recurrent LV systolic dysfunction (55.6% vs 4.9%, respectively, p<0.05). Conclusion:Recurrentheart failure may ensue in the patients with reversible non-ischemic LV systolic dysfunction. The maintenance ofanti-heart failure medication in these patients may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for their clinical prognosis.(Korean Circulation J 2006;36:53-59) KCI Citation Count: 1
Author 박성하
문정근
임세중
심재민
안철민
강석민
하종원
강신애
고영국
최의영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문정근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임세중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심재민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안철민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5
  fullname: 강신애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6
  fullname: 박성하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7
  fullname: 최의영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8
  fullname: 고영국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9
  fullname: 강석민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10
  fullname: 하종원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8643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LgNDQ3ttA1BQIWONvIgIOBq7g4y8DAzMTEyJKTIfD1zhaFt9M73s7oeNOyUeHVhoY309eCWG8W9bzpXvN6W8ObBUAFM2e8mTfhzdwZCm_mtbxpbnyzoFHh1aa9rzbvUXi9oV_hzYzGt9OWKryZNeXN3B08DKxpiTnFqbxQmpshxM01xNlD18ff3dPZ0Uc3z9TMQtfILNHM3DLRxNLUItkkJdXIwMTELC3ZKMnY0jjVyMzC3NLCMtUAKJCWYgzkJZkYmKUampkYphqZJhpZWBqaGnMzaEKMzStKi89OzozPT8wE0-n58dlF8Y5BIZ7xhoYWQI9aGAMA26hk1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DocumentTitleAlternate Clinical Fate of Reversible Non-Ischemic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EISSN 1738-5555
EndPage 5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180068
GroupedDBID ---
5-W
8JR
8XY
9ZL
ACYCR
ADBBV
ADRAZ
AENEX
ALMA_UNASSIGNED_HOLDINGS
AOIJS
BAWUL
DIK
E3Z
EF.
F5P
HYE
KQ8
M48
M~E
O5R
O5S
OK1
RPM
ID FETCH-LOGICAL-n568-26a679a4958c4de20446fc2b393e2687989e0fc2fd3687b406e1641e25a289153
ISSN 1738-5520
IngestDate Tue Nov 21 21:44:56 EST 2023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568-26a679a4958c4de20446fc2b393e2687989e0fc2fd3687b406e1641e25a289153
Notes G704-000708.2006.36.1.008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8006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6-01
PublicationDateYYYYMMDD 2006-01-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1
  year: 2006
  text: 2006-01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Korean circulation journal
PublicationYear 2006
Publisher 대한심장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심장학회
SSID ssj0064429
Score 1.6253166
Snippet 배경 및 목적: 임상적으로 비 허혈성 좌심부전이 가역적으로 회복되는 경우 를 간혹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회복된 상태의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에 대한 적절한 치료 후 가역적으로 회복된 비 허혈성 좌심부전 환자들을...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53
SubjectTerms 내과학
Title 비 허혈성 가역성 좌심부전 환자의 임상적 경과 및 영향 요인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8643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06, 36(1), , pp.53-5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ixMxFA_bPYgX8RNdPxjEnEplvjKTeJuZtqzKCkLFvZX5SGUptFC6F09b7GFBQQ_iVmGXRfCmsCqIgv5Dbfo_-JJJu9PVhdVDh9eX3_ySeS8lL52XBKFbVpZwwnlcMRM7rbg-bVVimSbmWA5MJ0yPxWq52NoDb_WRe2-drC-V7hSyljb7ye306V_XlfyPV0EHfpWrZP_Bs3NSUIAM_oUreBiuJ_IxroU4ZJi6ZVyrYuZjSpVAlRBBAQ4tKAtwaMqUBlABKKgWyyIc2JhGShXiIFKcnkYH5pycSVpJUMMsZ5IVlbUK2CSBA4Hp7D5dsY3DqhIcHEZlxQ6F9fxGqvBA5OGA5KoAM1fTh7QYOt_v9uRbg3Sjl-ojx8pFI0GnkeTwACHVTWBEVezjMDqEFJvrzrAuZlYRoi2hsLlJgvpRFqKNDE8IdS1AjvsXRaLA1NK2VUnAoj8qI7MipoQA8IVxw4dxgxA7f8XEizpCCuNDvjGyjjT0VugLe4AfGZsXdgFvpxvNJ91mu9eEuc7dpty8z_RoCZUcS54aQSqPZzEIBLnqfL55syBy6vRahcipcRad0VMeI8j77zm01O6eR6fWdFLHBfRw8mNoTHe2p6NtMfxsjA-2xM4nKYn3L8Tzj5NvW2IfAG9HYu-V2B0ZYm8ong3E_sAYf_k1_vrTmBy8NMRoMH3zwRDvXovd7xdRo15rRKsVfdJHpUM8-E17seezGObqNHUzbsskg1ZqJw5zuO1Rn1HGTVC0Mge-JRCDcpjlW9wmsU0ZjNmX0HKn2-GXkeGwLPGZb8c-py6JWZyRzE3SxIIPz7LWFXQTDKFMebxJV04CuopOH3aka2i539vk1yFA7Sc3lC9-A6DPed8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9%84+%ED%97%88%ED%98%88%EC%84%B1+%EA%B0%80%EC%97%AD%EC%84%B1+%EC%A2%8C%EC%8B%AC%EB%B6%80%EC%A0%84+%ED%99%98%EC%9E%90%EC%9D%98+%EC%9E%84%EC%83%81%EC%A0%81+%EA%B2%BD%EA%B3%BC+%EB%B0%8F+%EC%98%81%ED%96%A5+%EC%9A%94%EC%9D%B8&rft.jtitle=Korean+circulation+journal&rft.au=%EB%AC%B8%EC%A0%95%EA%B7%BC&rft.au=%EC%9E%84%EC%84%B8%EC%A4%91&rft.au=%EC%8B%AC%EC%9E%AC%EB%AF%BC&rft.au=%EC%95%88%EC%B2%A0%EB%AF%BC&rft.date=2006-01-01&rft.pub=%EB%8C%80%ED%95%9C%EC%8B%AC%EC%9E%A5%ED%95%99%ED%9A%8C&rft.issn=1738-5520&rft.eissn=1738-5555&rft.spage=53&rft.epage=5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8006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552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552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552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