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비당뇨병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당화혈색소와 주요 심장사건의 관계

배경 및 목적: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내원 시 높은 혈당이 장기예후에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내원 당시 측정한 혈당은 급성 허혈에 의한 대사성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내원전 2~3개월간 혈당농도를 반영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비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주요 심장사건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입원하여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 105명 중 비당...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369 - 374
Main Authors 이연상, 정명호, 김계훈, 강동구, 윤경호, 이상현, 임상엽, 홍서나, 박형욱, 홍영준, 김주한, 김원,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5.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내원 시 높은 혈당이 장기예후에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내원 당시 측정한 혈당은 급성 허혈에 의한 대사성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내원전 2~3개월간 혈당농도를 반영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비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주요 심장사건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입원하여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 105명 중 비당뇨병환자 68예(60.2±13.16세, 남: 여 55: 13)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당뇨병 환자군은 당화혈색소치가 6% 미만인 군(Ⅰ군:46명, 58.7±12.54세, 남: 여 37: 9)과 6% 내지 7%인 군(Ⅱ군: 22명, 64.6±13.14세, 남: 여 18: 4)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성,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 퇴원 후 6개월간 주요 심장사건을 비교하였다. 결 과: Ⅰ군과 Ⅱ군 사이에서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 흡연력,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개월간 주요심장사건은 Ⅱ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13% vs. 36%, p=0.026),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당화혈색소 6~7%가 주요 심장사건과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다(odd ratio=5.14; 95%CI, 1.08 to 24.52, p=0.04). 결 론: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하여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비당뇨병환자에서 이상 당화혈색소치가 중요한 예후예측인자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Hyperglycemia on hospital admision is a known important risk factor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n the level of he-moglobin A1c (HbA1c)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in non-diabetic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Subjects and Methods:Of the 105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PCI between January 202 and December 202, 68 non diabetic patients were analyz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n=46, 58.7± 12.5 years, 37 male) with low levels of HbA1c (<6% ) and group II (n= 22, 64.6± 13.1 years, 18 male) with elevated levels of HbA1c (6% to 7% ). MACE was observed during the six-month clinical follow-up. Results: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n the two groups. Group II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MACE (13% vs. 36%, p=0.026) compared to Group I.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isclosed that an elevated level of HbA1c, between 6 and 7%,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of MACE. Conclusion:An elevated level of HbA1c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non-diabetic acute myocardial infarc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708.2005.35.5.009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