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 감소의 임상적 유용성
배경 및 목적: 급성 관동맥 증후군은 죽상 동맥경화증에서 죽상반의 파열, 혈소판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혈전 형성에 의해서 발생 한다.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의 감소가 혈소판의 활성화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의 유용성과 안정형 협심증의 감별에 도움이 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한 175명(평균 나이 57.9±10.4세, 남자 10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 관동맥 증후군(급성 심근경색증과 불안정형 협심증)과 대조군...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240 - 24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심장학회
01.03.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배경 및 목적:
급성 관동맥 증후군은 죽상 동맥경화증에서 죽상반의 파열, 혈소판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혈전 형성에 의해서 발생 한다.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의 감소가 혈소판의 활성화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의 유용성과 안정형 협심증의 감별에 도움이 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한 175명(평균 나이 57.9±10.4세, 남자 10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 관동맥 증후군(급성 심근경색증과 불안정형 협심증)과 대조군(안정형 협심증과 정상)의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EDTA 튜브에 채혈한 후 1시간 이내에 Bayer ADVIA?? 120 혈액측정 기계로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급성 관동맥 증후군과 대조군 사이에 성별, 나이, 흡연,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혈소판 수치는 차이가 없었다(p>0.05).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는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27.3±1.2 g/dL vs. 28.6±0.9 g/dL, p=0.013). 그리고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안정형 협심증에 비해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는 감소하였으나(27.4±1.2 g/dL vs. 28.6±0.9 g/dL, p<0.001), 불안정형 협심증
과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27.4±1.2 g/dL vs. 27.2±1.2 g/dL, p>0.05).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가 28.05 g/dL 이하 일 때 급성 관동맥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민감도는 74.5%, 특이도는 75%,양성 예측도는 51.6%, 음성 예측도는 86.5%였다.
결 론:
평균 혈소판 성분 농도의 측정은 급성 관동맥 증후군의 진단 뿐 아니라, 임상 상황에서 불안정형 협심증과 안정형 협심증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검사법으로 이용할 수 있겠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reduction in the mean platelet component (MPC) concentration may be used to detect platelet activation. We performed this study to find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MPC concentration in the differentiation of patients with stable angina from those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Subjects and Method :We evaluated 175 consecutive patients (57.9 ± 10.4 years, 107 male)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The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ACS (n=5, 57.5 ± 11.8 years, 37 male) and those with stable angina (n= 120, 58.1± 9.7 years, 70 male). Venous blood samples were take into EDTA tube and immediately sent to laboratory room for measurement of the MPC concentration using the ADVIA 120 hematology system. Results:The MPC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 -sed in those with ACS (27.3 ± 1.2 g/dL vs. 28.6 ± 0.9 g/dL, p=0.0 1 -reased in patients with unstable compared to stable angina (27.4 ± 1.2 g/dL vs. 28.6 ± 0.9 g/dL, p<0.00 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PC concentration betwee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unstable angina (27.2 ± 1.2 g/dL vs. 27.4 ±1.2 g/dL, p=0.939). An MPC concentration (28.05 g/dL demonstrated 74.5% sensitivity and 75.0% specificity in the dife -rentiation of patients with ACS from the others in the Receiver Operating Curve analysis.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 -dictive values were 5 1.6 and 86.5%, respectively, at that level. Conclusion VMeasurement of the MPC concentration may be useful in the detection of ACS. Also, a decreased MPC concentration may be a very useful marker for the diferentia -tion of unstable and stable angina.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000708.2005.35.3.004 |
ISSN: | 1738-5520 1738-55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