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질환자에서 좌심실 구혈율이 내피세포 기능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

배경 및 목적: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내피세포 기능과 경동맥 내중막 두 께(IMT: intima-media thickness)는 이상 소견을 보이는데, 이들 두 지표가 좌심실 구혈율과 상관 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고, 내피세포 기능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간에도 상관 관계 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대상 환자는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283명(평균 연령: 59 세, 남자: 176명)으로 하였다. 내피세포 기능과 경동맥 내중 막 두께는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내피세 포 기능은 과혈류에 대한 상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375 - 381
Main Authors 배장호, 김기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5.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내피세포 기능과 경동맥 내중막 두 께(IMT: intima-media thickness)는 이상 소견을 보이는데, 이들 두 지표가 좌심실 구혈율과 상관 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고, 내피세포 기능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간에도 상관 관계 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대상 환자는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283명(평균 연령: 59 세, 남자: 176명)으로 하였다. 내피세포 기능과 경동맥 내중 막 두께는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내피세 포 기능은 과혈류에 대한 상완동맥의 확장능으로 표시하였 고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반자동화 방법으로 총경동맥, 경동 맥 팽대부, 내경동맥부위에서 각각 측정하였으며, 경화반 유 무도 확인하였다. 결 과: 좌심실 구혈율이 55% 이상인 경우(n=236)는 55%미만인 경우(n=47) 보다 연령이 낮았고(58세 vs. 62세, p<0.05), 당 뇨병 빈도도 낮았고(15% vs. 38%, p<0.001), 심근 경색의 유병율이 낮았으며(13% vs. 66%, p<0.001), 내피세포 기능 은 높았으며(4.8±2.4 vs. 4.0±2.0%, p<0.05) 총경동맥 내 중막 두께는 낮았다(0.85±0.15 mm vs. 0.91±0.17 mm, p<0.05). 또한 전체 환자군에서 내피세포 기능은 좌심실 구 혈율이 증가할수록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고(r=0.149, p<0.05),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좌심실 구혈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 는 양상을 보였다(r=-0.156, p<0.05). 그러나 내피세포 기 능과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 이지 않았다. 다변수 분석에서는 좌심실 구혈율은 내피세포 기능과는 독립적인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에서는 의미가 없었다. 결 론: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내피세포 기능과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좌심실 구혈율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나, 내피 세포 기능은 좌심실 구혈율과 독립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 결과는 내피세포 기능이 이들 환자군에서 예후 예측인자 라는 점을 뒷받침해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endothelial function and carotid arteries intima-media thicknes (IMT) are abnormal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ejection fraction on the endothelial function and carotid IMT in patients with CAD. Subjects and Methods:(mean age; 59 years, 176 males). The endothelial function and the carotid IMT were asesed by measuring the flow-mediated vasodi-lation (FMD) of the brachial artery and semi-automatically using high-resolution ultrasound, respectively. Results:Patients (n= 236) with an ejection fraction (EF) (5% on routine echocardiogram were younger (mean age; 58 vs. 62 years), showed a lower prevalence of diabetes (15 vs. 38%) (13 vs. 66%), a hig-her FMD (4.8± 2.4 vs. 4.0± 2.0%, p<0.05) and a lower carotid IMT (0.85± 0.15 vs. 0.91± 0.17 mm, p<0.05) than patients (n=47) with an EF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F and FMD, and the EF and the carotid IMT were 0.149 (p<0.02) and -0.156 (p<0.02), respectively, in the entire study popul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MD and carotid IMT in the study patients.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e EF still to be an independent factor of the FMD, but not of the carotid IMT. Conclusion:The EF was the only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 of the endothelial function, although it was asociated with the FMD and carotid IMT in patients with CAD. These results suport the view that the endothelial function i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CA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708.2005.35.5.006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