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혈압을 가진 성인에서 운동부하검사시 혈압상승과Vascular Compliance의 관계

배경 및 목적:고혈압 환자에서 혈관 탄성도가 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소견은 고혈압 초기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저혈압이 정상(120/80 mmHg 미만)인 군에서, 향후 고혈압 발생 위험성을 반영하는 소견인 운동시 혈압상승과 혈관 탄성도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고혈압 발생 가능성이 큰 정상인에서 혈관 탄성도가 감소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2002년 9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심장초음파와 운동부하검사를 같이 시행하고 당뇨, 뇌졸중, 심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784 - 788
Main Authors 안석진, 성지동, 김필호, 도준형, 김용훈, 오혜림, 천일석, 이상훈, 홍경표, 박정의, 서정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8.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520
1738-55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고혈압 환자에서 혈관 탄성도가 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소견은 고혈압 초기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저혈압이 정상(120/80 mmHg 미만)인 군에서, 향후 고혈압 발생 위험성을 반영하는 소견인 운동시 혈압상승과 혈관 탄성도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고혈압 발생 가능성이 큰 정상인에서 혈관 탄성도가 감소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2002년 9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심장초음파와 운동부하검사를 같이 시행하고 당뇨, 뇌졸중, 심장병 과거력이 없으며 안정상태에서 측정한 혈압이 SBP<120 mmHg, DBP<80 mmHg인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초음파검사로 심장구출량(stroke volume)을 계산하여 체표면(body surface area)으로 나누어 stroke volume index를 구하고 이를 기저혈압의 맥압(pulse pressure, PP)으로 나누어 혈관 탄성도(SVI/PP)를 계산하였다. 운동부하검사시 혈압을 측정하여 최고 혈압과 혈관 탄성도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 과: 대상 환자는 총 77명(남자 54명)이었고 연령은 47.6±7.7세이었다. 전체 혈관 탄성도는 1.08±0.24 L/m2/mmHg이었고 운동 중 평균 수축기 최고혈압은 154±21 mmHg(range:109~160)이었다. 최대혈압과 혈관 탄성도 간의 상관관계는 r=-0.24, p<0.05이었다. 기저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에서 운동부하검사시 3단계 최고혈압과 혈관 탄성도의 관련성이 가장 좋았다 (r=-0.24, p<0.05). 이러한 관계는 성별, 연령, 기저 수축기혈압은 다변량 분석에서 혈관 탄성도의 독립적인 예측인자가 아니었고, 최고산소 섭취량으로 보정한 후에도 유의하였다(p<0.05)(측정값:평균±표준편차). 결 론: 기저혈압이 정상이면서 운동 중 혈압상승이 심하여 향후 고혈압 발생 가능성이 높은 군에서 혈관 탄성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이는 혈관 탄성도의 저하와 고혈압 발생간의 선후관계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소견으로 앞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이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Vascular compliance is known to be decreased in hypertension, even at an early stage. The blood pressure response to exercise reflects the future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A study was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scular compliance and blood pressure response to exercise, to evaluate whether the vascular compliance is decreased in normotensive persons with a relatively higher future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Subjects and Methods: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s with normal blood pressure (SBP<120 mmHg, DBP<80 mmHg), who had undergone health screening and both echocardiography and treadmill test. Those patients with a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or clinical cardiovascular diseases were excluded form the subjects. An index of overall vascular compliance (SVI/PP) was calculated using echocardiograph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systolic blood pressure during exercise and vascular compliance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The subjects were 77 patients, 54 male and 23 female, with a mean age of 47.6±7.7 years. The measured vascular compliance and average of peak systolic pressure on exercising were 1.08±0.24 L/m2/mmHg and 154±21 mmHg, respectively. The peak systolic pressure was correlated with the vascular compliance (r=-0.24, p<0.05). The peak systolic pressure at stage 3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vascular compliance (r=-0.24, p<0.05). This relationship persisted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basal systolic blood pressure and maximal oxygen consumption (p<0.05). Conclusion:The vascular compliance was lower in subjects with a larger increase in blood pressure during exercise whose basal blood pressure was even below 120/80 mmHg. This finding may suggest that a decreased vascular compliance precedes the changes of hypertension. A longitudinal follow-up study is warranted.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708.2004.34.8.009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