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Heparin-Coated 스텐트를 이용한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의 장기 성적
배경 및 목적: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에서 스텐트 시술은 풍선도자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재협착율이 낮고 임상적인 성적이 나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급성 심근경색증에서와 같이 혈전형성이 쉬운 환경에서heparin-coated 스텐트는 시술 후 초기에 혈전 생성을억제함으로써 혈전에 의한 조기 재폐쇄 예방에 효과적인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장기적인 결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방 법:1998년 1월부터 2002년 7월 사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스텐트를 이용해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았고 1년 이상 추...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540 - 547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심장학회
01.06.200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5520 1738-5555 |
Cover
Loading…
Summary: | 배경 및 목적: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에서 스텐트 시술은 풍선도자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재협착율이 낮고 임상적인 성적이 나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급성 심근경색증에서와 같이 혈전형성이 쉬운 환경에서heparin-coated 스텐트는 시술 후 초기에 혈전 생성을억제함으로써 혈전에 의한 조기 재폐쇄 예방에 효과적인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장기적인 결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방 법:1998년 1월부터 2002년 7월 사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스텐트를 이용해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았고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32명의 환자(남자:98명, 평균연령:56.3±10.7세)를 대상으로 관동맥 조영술 소견 및 임상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결 과:
흉통 발생 후 재관류까지의 평균 시간은 254.0±129.0
분이었다. 경색관련동맥의 분포는 좌전행지 65병변(49.2%),
우관동맥 50병변(37.9%), 좌회선지 15병변(11.4%),
좌주간동맥이 2병변(1.5%)이었고 단일혈관질환은 69
예(52.3%)였으며 혈관 내 혈전은 59예(44.7%)에서 관
찰되었다. 127명의 환자에서 시술에 성공하였다(96.2%).
경색혈관의 TIMI flow는 시술 전 64명(48.5%)의 환
자에서 0 또는 1로 감소되어 있었으나 시술 후 123명
(93.2%)의 환자에서 3으로 회복되었다. 입원기간 중 사
망은 8예(6.1%), 표적 병변 재관류는 2예(1.6%)있었으
나 출혈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6개월 추적 관동맥
조영술은 62명의 환자(47.2%)에서 평균 6.6개월에 시
행되어 조영술상 재협착은 13예(20.1%)에서 관찰되었
다. 평균 37.2±17.2개월의 추적 기간 중 사망은 12예
(9.1%), 재경색은 1예(0.8%)에서 관찰되었고 관동맥
우회술 5예를 포함한 표적 병변 재관류는 18예(13.6%)
에서 시행 받았다. 추적 관찰기간 동안 주요심장사건(MACE)
이 발생하지 않는 1년 누적 생존율과 3년 누적 생존
율은 각각 80.3%, 76.5%였다.
결 론:
급성심근경색증에서 heparin-coated 스텐트를 이용
한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은 장기 추적관찰에서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reperfusion therapy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n the very thrombotic environment ofAMI, primary PCI, with heparin-coated stents, has been known to reduce the early reocclusion of the stentedvessel by preventing thrombosis. However, little data exist regarding the long-term clinical outcomes. Theaim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feasibility and long-term efficacy of heparin-coated stents inAMI. Subjects and Methods:Between January 1998 and July 2002, primary PCI with heparin-coated stentswas performed in 132 consecutive patients (98 males, with a mean age of 56.3±10.7 years) admitted with thediagnosis of AMI within 12 hours from the onset of the chest pain.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including death, MI, TLR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and CABG, were recorded during hospitalizationand the follow-up period. Angiograms were obtained at the baseline, after stent implantation and at 6 monthsfollowing implantation. Results:The angiographic and procedure success rate was 96.2%. During hospitalization,there was no evidence of reocclusion of stented vessel, but 1 patient underwent a repeat PCI due todissection. There were no bleeding complications. A six-month angiographic follow-up was completed in47.2% of eligible patients and binary restenosis was present in 20.1%. During the long-term clinical followup(mean follow-up period 37.2±17.2 months), there were 12 deaths, 1 myocardial infarction and 18 TLR. TheMACE free survival rate was 76.5%. Conclusion:Primary PCI, with heparin-coated stents, shows favorablelong-term clinical outcom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708.2004.34.6.006 |
ISSN: | 1738-5520 1738-55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