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9C2 세포에서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Larvae)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본 연구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심근세포에서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PBLE를 DPPH, ABTS assay를 이용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해 PBLE가 세포 독성이 없다는 사실과 H2O2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해 세포 내외 경로의 apoptosis를 PBLE가 방지하여 이와 같은 보호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3; no. 9; pp. 898 - 90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9.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4.53.9.898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심근세포에서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PBLE를 DPPH, ABTS assay를 이용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해 PBLE가 세포 독성이 없다는 사실과 H2O2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해 세포 내외 경로의 apoptosis를 PBLE가 방지하여 이와 같은 보호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으며, 세포 내 항산화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세포를 보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sA가 포함된 증류수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추출하였으므로 유효성분의 파괴가 줄어들어 항산화 효과 및 세포 보호 효과 나타났을 것이라 예상된다. PBLE가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유발된 심혈관질환의 예방 효과를 가진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효성분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larvae of edible insects,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contain various amino acids and have gained attention as bioactive materials. In this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on heart-derived H9C2 cells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was investigated. H9C2 cells treated with Protaetia brevitarsis larval extract (PBLE) exhibited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protecting the cells from oxidative stress. This protection was achieved through inhibition of the apoptosis programs involving intracellular B-cell leukemia/lymphoma 2 family proteins and the intra- and extracellular pathways. Additionally, the cells were safeguarded via antioxidant signaling pathw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BLE protects cardiomyocytes by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3746/jkfn.2024.53.9.898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4.53.9.8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