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종이 빨대가 커피 음료에 대한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빨대의 색과 재질이 소비자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사용감 기호도를 제외한 다른 기호도 항목에서는 네 가지 빨대를 이용한 커피 시료의 기호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감정용어 결과에서는 색보다는 재질이 같은 빨대에서 유사한 감정용어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있었다.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이끄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소비자들이 종이 빨대에 대한 친숙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이를 통하여 산업체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음료 시장에서 빨대에 대한 소비자의 정서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6; no. 5; pp. 669 - 674
Main Authors 황지선(Ji-sun Hwang), 김미나(Mina K.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0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빨대의 색과 재질이 소비자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사용감 기호도를 제외한 다른 기호도 항목에서는 네 가지 빨대를 이용한 커피 시료의 기호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감정용어 결과에서는 색보다는 재질이 같은 빨대에서 유사한 감정용어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있었다.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이끄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소비자들이 종이 빨대에 대한 친숙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이를 통하여 산업체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음료 시장에서 빨대에 대한 소비자의 정서적 반응에대한 연구로 활용하여 마케팅 전략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onsumer acceptance of paper straws, as a substitute for plastic straws in beverage consumption,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straws utilized in the consumer evaluation for iced coffee tasting included transparent plastic straws (S1), black plastic straws (S2), white paper straws (S3), and black paper straws (S4). In all, 51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evaluation of consumers’ liking and emotion related to iced coffee. Except for usage liking, none of the liking items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lthough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nsumer liking for coffee, plastic straws were significantly preferred over paper straws in usage liking (p<0.05). The color of the straw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consumer liking. However, the contrast in emotional terms related to the material was more noticeable than that for the color of the straw. Plastic straws were associated with positive emotions such as good, light, pleasant, whereas paper straws were associated with negative emotions such as guilt and aggression. KCI Citation Count: 0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24.56.5.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