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 여정실의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성 평가

본 연구에서는 여정실을 여러 유용 미생물 B. subtilis KCTC 14549(BS), S. cerevisiae KCTC 48234(SC), L. brevis KCTC 18270(LB), L. casei KCTC 12413(LC), L. plantarum KCTC 18510(LP)으로 발효한 후 항균, 항산화 및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발효 여정실의 건강 기능성 및 화장품 등과 같은 산업원료 소재로서 활용성을 탐색하였다. 여정실 발효액의 pH, OD600nm, 생균수 측정 결과는 각각 3.45~4.43, 0.73~1.21,...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2; no. 7; pp. 691 - 700
Main Authors 이정정(Jing-Jing Li), 김경희(Kyoung-Hee Kim), 육홍선(Hong-Sun Y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7.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여정실을 여러 유용 미생물 B. subtilis KCTC 14549(BS), S. cerevisiae KCTC 48234(SC), L. brevis KCTC 18270(LB), L. casei KCTC 12413(LC), L. plantarum KCTC 18510(LP)으로 발효한 후 항균, 항산화 및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발효 여정실의 건강 기능성 및 화장품 등과 같은 산업원료 소재로서 활용성을 탐색하였다. 여정실 발효액의 pH, OD600nm, 생균수 측정 결과는 각각 3.45~4.43, 0.73~1.21, 5.20~8.75 log CFU/mL의 범위를 나타내서 발효가 잘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여정실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을 측정한 결과, 모두 SC를 이용한 발효 여정실의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LP 발효균이 P. aeruginosa에 아주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정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발효군이 비발효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LB, LP, SC 발효군이 비교적 높았다. 여정실 발효물의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SC 발효군이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여정실 발효를 통해 항산화, 항균 및 효소 저해 활성을 증진할 수 있으며, 특히 SC를 이용한 발효 여정실의 항산화 및 효소 저해 활성 강화, LP를 이용한 발효 여정실의 항균 활성 증대를 확인하여 발효 여정실이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원료 소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study, Fructus Ligustri Lucidi was fermented with B. subtilis, S. cerevisiae (SC), L. brevis (LB), L. casei (LC), and L. plantarum (LP). To evaluate the role of the resultant fermentation products as raw materials in functional health foods and cosmetics, the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pH, 600 nm absorbance, and live cell count of the fermentation products in the fermentation room were in the range of 3.45∼4.43, 0.73∼1.21, and 5.20∼8.75 log CFU/mL, respectively, confirming that the fermentation had proceeded well. The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the total phenol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was highest in the fermentation product associated with SC (P<0.05). The fermentation product associated with LP show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 aeruginosa. All the fermented products showed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non-fermented product, and this was especially true of the LB, LP, and SC fermented products. The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observed to be the highest in the SC fermentation produ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antioxidant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can be enhanced through Fructus Ligustri Lucidi fermentation with S. cerevisiae. Also, L. plantarum fermentation produced a product with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fermented products of Fructus Ligustri Lucidi as raw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health foods and cosmetics. KCI Citation Count: 2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7.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