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지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진료지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근거로 진료지원간호사의 조직몰입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152명의 진료지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Scheffe test,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30; no. 4; pp. 357 - 366
Main Authors 한명지(Han, Myung Jee), 최소영(Choi, So 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간호행정학회 01.09.2024
간호행정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는 진료지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근거로 진료지원간호사의 조직몰입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152명의 진료지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Scheffe test,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상관관계(r=-.57, p<.001), 긍정심리자본과는 정적 상관관계(r=.47, p<.001)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본은 부적 상관관계(r=-.32,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β=.32,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진료지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긍정심리자본은 두 변수 간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료지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조직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방법에 긍정심리자본을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hysician assistant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2 physician assistant nurses recruite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SPSS/WIN program (version 25.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stress (r=-.57, p<.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47, p<.001).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r=-.32, p<.001)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β=.32, p<.001). Conclus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rves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hysician assistant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mprov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hysician-assistant nurs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
DOI:10.11111/jkana.2024.30.4.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