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신선채소 재배에 사용되는 농업용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평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의 농업용수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위생지표세균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농작물 수확 전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상대적으로 안정된 수질을 유지하며, 일반세균수와 대장균의 농도 변화가 미미한 반면, 지표수의 경우 수확 후 위생지표세균의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위생지표세균과 이화학 성분의상관분석 조사 결과, pH와 TDS, EC와 같은 이화학적 요인들이위생지표세균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농업용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미생물 오염도에 중요한 역할...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6; no. 5; pp. 664 - 668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01.10.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의 농업용수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위생지표세균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농작물 수확 전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상대적으로 안정된 수질을 유지하며, 일반세균수와 대장균의 농도 변화가 미미한 반면, 지표수의 경우 수확 후 위생지표세균의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위생지표세균과 이화학 성분의상관분석 조사 결과, pH와 TDS, EC와 같은 이화학적 요인들이위생지표세균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농업용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미생물 오염도에 중요한 역할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내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기준 마련의필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지표수와 같은 오염 가능성이 높은 용수에 대한 관리 강화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tamination levels of hygiene- indicator bacteria in irrigation water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resh produce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both before and after harv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groundwater maintained relatively stable water quality, whereas surface water showed an increase in hygiene-indicator bacterial concentrations after harvest. Physicochemical factors including pH, total dissolved solid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found to influence bacterial concentrations, underscoring the significant role of these characteristics in microbial contamination.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continuous monitoring and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andards to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irrigation water, with particular emphasis on enhancing surface water management practic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24.56.5.6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