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경험의 학문적 지위 높이기: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제1내과와 『임상내과학』
이 논문은 경성제국대학 내과학교실 제1강좌, 별칭 ‘이와이 내과’의 『임상내과학』 발간을 다룬다. 지금까지 경성제국대학의 의학 연구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주로 해부학, 위생학, 약리학, 미생물학 등 기초의학 분야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런 접근은 기초의학교실과 임상의학교실의 역할을 연구 대 임상의사 양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보면서, 임상의학교실의 연구 기능을 간과해왔다. 그러나 『임상내과학』은 이와이 내과가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해 왔음을 보여준다. 『임상내과학』의 목적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그 간행이 대학 밖의 진...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yisa haghoeji Vol. 33; no. 2; pp. 299 - 33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의사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이 논문은 경성제국대학 내과학교실 제1강좌, 별칭 ‘이와이 내과’의 『임상내과학』 발간을 다룬다. 지금까지 경성제국대학의 의학 연구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주로 해부학, 위생학, 약리학, 미생물학 등 기초의학 분야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런 접근은 기초의학교실과 임상의학교실의 역할을 연구 대 임상의사 양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보면서, 임상의학교실의 연구 기능을 간과해왔다. 그러나 『임상내과학』은 이와이 내과가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해 왔음을 보여준다. 『임상내과학』의 목적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그 간행이 대학 밖의 진료 현장에서 활동하는 임상의사들의 실용적 지식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1920-30년대 일본 제국 의학계에서 일어난 경험적 지식의 학술적 가치 향상 및 실험의학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을 반영하려 한 이와이 내과의 노력이었음을 밝힌다. 이와이 내과의 사례는 조선에서 경험적 임상 지식이 ‘알 가치가 있는’ 학술적 연구로서 변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것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경성제국대학 임상의학교실들이 수행한 연구 및 졸업 후 교육 기능을 이해하는 데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eriodical Clinical Internal Medicine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colonial Korea. Previous studies on medical research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have primarily focused on preclinical departments such as anatomy, hygiene, pharmacology, and microbiology which produced knowledge that supported Japan’s imperialistic expansion. This approach has overlooked the research contributions of clinical departments, often viewing the role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departments through a dichotomy between research versus clinician training. However, Clinical Internal Medicine demonstrates that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was actively engaged in research. By analyzing the purpose and content of Clinical Internal Medicine, this paper reveals that its publication was an effort by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o address the demand for practical knowledge among clinicians practicing outside the university. At the same time, it reflects a commitment to enhancing the academic value of clinical experience and critiques the blind pursuit of experimental medicine in the Japanese medical community in the 1920s and 1930s.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illustrates the transformation of clinical experience into “worthy” academic knowledge in colonial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provides insights into the role of clinical departments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research and post-graduation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505X 2093-5609 |
DOI: | 10.13081/kjmh.2024.33.2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