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솔잎증류농축액 중 3-카렌·리모넨·테르피놀렌의 동시분석법 개발

본 연구는 기능성 원료인 솔잎증류농축액이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등재 시 규격 관리를 위해 건강기능식품 중 3-카렌, 리모넨, 테르피놀렌의 동시분석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3개의 성분은 솔잎의 기능성 성분인 모노테르펜의 주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표준화된 시험법은 헥산 추출 후 100% polyethylene glycol로 충진된 컬럼을 이용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불꽃이온화검출기(GC-FID) 동시분석법을 설정하였다. 시험법 밸리데이션 결과, 직선성 정량범위 내에서 상관계수(R2) 0.999 이상의 유의수준을 보였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3; no. 4; pp. 358 - 366
Main Authors 정희선(Hee-Sun Jeong), 이세윤(Se-Yun Lee), 이미영(Mi-Young Lee), 김규헌(Kyu-Heon Kim), 윤태형(Tae-Hyung Yoon), 이혜영(Hye-You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4.53.4.35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기능성 원료인 솔잎증류농축액이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등재 시 규격 관리를 위해 건강기능식품 중 3-카렌, 리모넨, 테르피놀렌의 동시분석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3개의 성분은 솔잎의 기능성 성분인 모노테르펜의 주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표준화된 시험법은 헥산 추출 후 100% polyethylene glycol로 충진된 컬럼을 이용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불꽃이온화검출기(GC-FID) 동시분석법을 설정하였다. 시험법 밸리데이션 결과, 직선성 정량범위 내에서 상관계수(R2) 0.999 이상의 유의수준을 보였고, 3-카렌, 리모넨, 테르피놀렌의 검출한계는 2.7, 2.6, 2.4 μg/ mL, 정량한계는 8.0, 7.9, 7.3 μg/mL로 나타났다. 정밀도와 정확성 결과는 AOAC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을 통해 적합함을 확인하여 3-카렌, 리모넨, 테르피놀렌 동시분석법을 마련하였다. 또한, 유통제품으로 제형별 적용성을 검토하여 3-카렌, 리모넨, 테르피놀렌을 동시에 정량 가능한 시험법임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표준화된 시험법은 솔잎증류농축액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유통 시 제품의 규격 관리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for 3-carene, limonene, and terpinolene in health functional foods. The purpose was to ensure compli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a pine needle distillate concentrate, which is used as a functional ingredient, when included in 「Health Functional Food Code」. These three components are the main constituents of monoterpene, a functional compound found in pine needles. The standardized test method uses a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for simultaneous analysis. The method used a column filled with 100% polyethylene glycol after hexane extraction. Validation of the test method revealed a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0.999 or higher within the linear quantification range. The detection limits for 3-carene, limonene, and terpinolene were 2.7, 2.6, and 2.4 μg/mL, respectively. The quantitation limits for 3-carene, limonene, and terpinolene were 8.0, 7.9, and 7.3 μg/mL, respectively. The precision and accuracy were confirmed to be suitable according to the AOAC validation guidelines. A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for 3-carene, limonene, and terpinolene was developed. In addition, evaluation of various products confirmed that this test method could effectively measure the levels of 3-carene, limonene, and terpinolene simultaneously. The standardized test method establish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consumer confidence in managing product specifications when distributing health functional foods containing pine needle distillation concentrat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4.53.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