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리한 겉보리 에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와 HepG2 간세포의 지질 축적 억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겉보리 에탄올 추출물의 3T3- L1 지방세포 및 지방간 모델로 유도된 HepG2 간세포 내 항비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Oil red O를 이용하여 3T3-L1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 AD군과 비교하여 0-WBE, 150-WBE, 190-WBE, 230-WBE의 75μg/mL 농도에서지방 축적이 각각 3.0, 8.9, 7.0, 13.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내 지방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결과, AD군과 비교하여 190-WBE의 75μ...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6; no. 5; pp. 593 - 60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01.10.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24.56.5.593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겉보리 에탄올 추출물의 3T3- L1 지방세포 및 지방간 모델로 유도된 HepG2 간세포 내 항비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Oil red O를 이용하여 3T3-L1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 AD군과 비교하여 0-WBE, 150-WBE, 190-WBE, 230-WBE의 75μg/mL 농도에서지방 축적이 각각 3.0, 8.9, 7.0, 13.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내 지방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결과, AD군과 비교하여 190-WBE의 75μg/mL에서 pparγ, c/ebp- α, cd36 유전자 발현이 각각 25.4, 48.5, 64.9% 감소하였으며, 100 μg/mL에서 ap2, scd1, acc1 유전자 발현이 각각 68.1, 38.8, 62.9% 감소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내 지방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PC군과 비교하여 190-WBE의 75μg/ mL에서 SREBP-1C, AP2, SCD1의 단백질 발현이 각각 24.4, 52.4, 44.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100 μg/mL에서 C/EBP-α가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51.5% 억제되었다. 지방간 모델로 유도된 HepG2 간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정도를 oil red O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AD군과 비교하여 0-WBE, 150-WBE, 190- WBE의 100 μg/mL 농도에서 지방 축적이 각각 3 .5, 23.7, 8.0%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지방간 모델로 유도된 HepG2 간세포 내지방 분화와 관련된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PC 군과 비교하여 190-WBE의 75μg/mL에서 pparγ, c/ebp-α, srebp- 1c 유전자 발현이 각각 56.4, 26.7, 23.0%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190oC로 열처리한 겉보리 에탄올 추출물이 열처리를하지 않은 겉보리 에탄올 추출물보다 3T3-L1 지방세포 및 지방간 모델로 유도된 HepG2 간세포에서 우수한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어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whole barley (WBE) roasted at 150, 190, and 230oC on 3T3-L1 adipocytes and oleic acid (OA)-induced HepG2 hepatocytes. The WBE inhibited fat accumulation in 3T3-L1 and OA-induced HepG2 as its roasting temperature increased. At 100 μg/mL of 190oC WBE,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 3T3-L1, such as pparγ, ap2, scd1, and acc1, was reduced by 21, 68, 39, and 63%,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in adipocytes. Likewise, 75 μg/mL of 190oC WB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pparγ, c/ebp-α, and srebp-1c in OA-induced HepG2 (p<0.05). In 3T3-L1, at 75 μg/mL of 190oC WBE, the protein levels of C/EBP-α, SREBP-1C, AP2, and SCD1, decreased by 31, 24, 45, and 52%, respectively. Overall, 190oC WBE inhibited fat accumulation in 3T3-L1 and HepG2, showing its potential use as a natural anti-obesity functional material.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24.56.5.5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