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간호사의 감성지능이 간호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관리역량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6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한 경력 10년 이상의 간호사 186명이었다.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 23.0 와 SPSS 프로세스 매크로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의 상관 계수, 다중 회귀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
Saved in:
Published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30; no. 1; pp. 79 - 9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간호행정학회
2024
간호행정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330 2288-4955 |
DOI | 10.11111/jkana.2024.30.1.79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관리역량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6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한 경력 10년 이상의 간호사 186명이었다.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 23.0 와 SPSS 프로세스 매크로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의 상관 계수, 다중 회귀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관리역량은 감성지능(r=.32, p<.001), 의사소통역량(r=.42,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감성지능과 간호관리역량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역량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ndirecting effect=0.45, boot SE=0.11, 95% boot CI=[0.25, 0.67]).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경력간호사의 간호관리역량 향상을 위한 전략 마련에서 의사소통능력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하고, 경력단계별 간호관리역량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간호관리역량 관련 교육은 인적자원관리 및 기획역량 향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Purpose: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managerial competence among experienced nurses. Methods: A total of 186 nurs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orking in six general hospitals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ver. 23.0 and SPSS Process Macro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Nursing manager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32, p<.001)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r=.42, p<.001). Additionally,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managerial competence (indirect effect=0.45, boot SE=0.11, 95% boot CI=[0.25, 0.67]). Conclusion: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experienced nurses’ nursing managerial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as well a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elop nursing managerial competency-related education programs by career stages. In particular,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rela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improv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lanning competenc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9330 2288-4955 |
DOI: | 10.11111/jkana.2024.30.1.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