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과의 부위별 생리활성 평가

본 연구에서는 용과 과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과육과 과피로 분리하여 항산화 물질(셀레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활성(항산화 활성, 효소 활성 및 항염증 효과)을 비교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용과의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셀레늄 함량은 과피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과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5.78±0.05 mg TAE/g, 26.90 ±0.98 mg QE/g, 43.25±0.15%, 24...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1; no. 11; pp. 1215 - 1222
Main Authors 김예린(Ye-Rin Kim), 박지민(Ji-Min Park), 이현정(Hyeon-Jeong Lee), 김애정(Ae-J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1.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용과 과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과육과 과피로 분리하여 항산화 물질(셀레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활성(항산화 활성, 효소 활성 및 항염증 효과)을 비교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용과의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셀레늄 함량은 과피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과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5.78±0.05 mg TAE/g, 26.90 ±0.98 mg QE/g, 43.25±0.15%, 24.20±0.19%로 과육에 비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효소 활성에서도 과피의 elastase 저해 효과, tyrosinase 저해 효과가 각각 41.57± 0.63%, 77.84±0.21%로 과육에 비해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RAW 264.7 대식세포에 과육과 과피 열수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 100, 1,000 및 2,000 μg/mL)로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93.76~99.52%의 범위로 나타나 독성이 없었다.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대식세포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NO, IL-1β 및 IL-6의 생성을 측정한 결과, 과피가 과육에 비해 NO, IL-1β 및 IL-6의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용과의 항산화 물질(셀레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활성(항산화 활성, 효소 활성 및 항염증 효과)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활성, 효소 활성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염증 생성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폐기물로 버려질 용과 과피의 생리활성(항산화 활성, 미백, 항주름 및 항염증 효과)의 우수성이 규명되어 기능성 신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용과 과피를 미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피부세포를 이용한 안전성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selenium,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antioxidant, enzyma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lesh and peel, which is typically discarded as waste, of Hylocereus undatus (dragon fruit). Selenium,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higher in peel than flesh, and enzymatic activity assays also showed elast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also higher in peel. In addition, flesh and peel extracts (0, 100, 1,000, or 2,000 μg/m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ell viability, and peel extract inhibited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creases in NO, IL-1β, and IL-6 levels in RAW 264.7 macrophages significantly more than flesh extract. Correlation analysis on relations between antioxidant (selenium,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peel extrac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antioxidant, enzymatic, and anti-inflammatory) revealed positive relations with antioxidant and enzymatic activitie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flammation. In conclusion, the peel of Hylocereus undatus was found to possess excellent antioxidant, enzyma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hich suggests its potential use as a new functional material. KCI Citation Count: 3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2.51.1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