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광산지역 수은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열탈착 조건 검토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수은오염 농경지 토양을 대상으로 열탈착 기술의 적용성과 최적 처리조건을 검토하였다. 탈착 유지시간을 2시간으로 고정한 후 온도(100℃ ~ 700℃)별 처리효율을 검토한 결과 온도증가에 따른 수은 농도 감소가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국내 환경기준 만족여부, 토양기능 유지여부 등을 종합했을 때 200℃ 3시간이 최적 처리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토양 내 수은은 54 %가 원소수은으로 존재하였고, 탈착 처리 후 본 형태가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같은 수은오염 토양이라도 원소수은 함량이 높은 토양은 저온 영역...
Saved in:
Published in | 자원환경지질, 57(6) pp. 803 - 810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3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수은오염 농경지 토양을 대상으로 열탈착 기술의 적용성과 최적 처리조건을 검토하였다. 탈착 유지시간을 2시간으로 고정한 후 온도(100℃ ~ 700℃)별 처리효율을 검토한 결과 온도증가에 따른 수은 농도 감소가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국내 환경기준 만족여부, 토양기능 유지여부 등을 종합했을 때 200℃ 3시간이 최적 처리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토양 내 수은은 54 %가 원소수은으로 존재하였고, 탈착 처리 후 본 형태가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같은 수은오염 토양이라도 원소수은 함량이 높은 토양은 저온 영역대의 열처리가 가능하므로, 에너지 소비 관점에서 광산지역 토양에 대한 열탈착 기술의 현장 적용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and optimum treatment conditions (temperature and retention time) of thermal desorption for agricultural soil contaminated by mercury in an abandoned mine area. With a retention time of 2 hours, mercury concentration decreased as heating temperature, 100 ℃ to 700 ℃, increased. Eventually, a temperature of 200 ℃ with a retention time of 3 hours was suggested as the optimum condition of thermal desorption to meet the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 and maintain soil functions for agricultural use. 54 % of mercury existed as elemental mercury in the studied soil, and this species was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Therefore, thermal desorption with a lower temperature range and longer retention time has a feasibility for remediation of mercury contaminated soil in abandoned mine area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7281 2288-7962 |
DOI: | 10.9719/EEG.2024.57.6.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