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원 지체구조와 유한 단층 모델을 이용한 난카이 지진 단층 모델에 의한 한반도 변위장 예측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한반도 전역에 평균 3 cm에 달하는 뚜렷한 동지진 변위를 보여주어, 일본 주변의 대지진이 우리나라 측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최근 한반도 주변의 주요 섭입대 중 하나인 난카이 해곡에서대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난카이 해곡 일대는 과거로부터 대략 100여 년을 주기로 규모 8.0 이상의 대지진이 반복되어 온 지역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가까운 섭입대로서 그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과거 난카이 해곡 인근의대지진을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61(1) pp. 29 - 4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한반도 전역에 평균 3 cm에 달하는 뚜렷한 동지진 변위를 보여주어, 일본 주변의 대지진이 우리나라 측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최근 한반도 주변의 주요 섭입대 중 하나인 난카이 해곡에서대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난카이 해곡 일대는 과거로부터 대략 100여 년을 주기로 규모 8.0 이상의 대지진이 반복되어 온 지역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가까운 섭입대로서 그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과거 난카이 해곡 인근의대지진을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가능한 유한 단층 모델을 몇 가지 가정한 후, 이로 인한 한반도의 지진 유발 변위 양상을살펴보았다. 서로 다른 위치, 경사, 면선각(rake), 깊이를 갖는 유한 단층 모델로부터 변위를 계산한 결과, Mw 8.5의 지진 단층에도한반도가 남동 방향으로 최대 2.6 cm 정도 움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난카이 대지진의 예상 모델은 공통적으로 한반도의동서 양단에 큰 변위 차를 보여주는데, 이는 해당 지진으로 인해 한반도 지반이 북서-남동 방향의 큰 전단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시사한다. The 2011 Tohoku-Oki earthquake showed a significant co-seismic horizontal motion of an average 3 cm across the Korean Peninsula, showing a significant geodetic impact due to a megathrust event near Japan.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another megathrust event near the Nankai Trough. This area has repeatedly experienced megathrust events of Mw 8.0 or higher with the period of 100 years or more. Further, the Nankai Trough is the closest subduction zone to South Korea, and the megathrust event in the region is expected to show the greater geodetic impact compared to its magnitude. Thus in this study, based on the fault parameters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the co- and post-seismic crustal motion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several possible fault slip models placed near the Nankai Trough. Numerical solutions of the earthquake-induced surface displacements considering various fault parameters, such as the location, dip, rake, and depth, show that the Korean Peninsula can experience a co-seismic horizontal displacement up to 2.6 cm toward the southeast direction due to a Mw 8.5 Nankai earthquake. Further, the predicted displacement fields commonly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ends of the Korean Peninsula, suggesting that the earthquake could subject the peninsula to the large shear stress in the northwest-southeast direc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4770/jgsk.2024.039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4.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