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기업가 지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 네트워크 역량의 조절효과
Social enterprises, hybrid organizations that blend the logic of the public and market economie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market failure. However, due to the government-led compressed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many social enterprises rely o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when the s...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9; no. 4; pp. 69 - 8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9.4.202408.69 |
Cover
Summary: | Social enterprises, hybrid organizations that blend the logic of the public and market economie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market failure. However, due to the government-led compressed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many social enterprises rely o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when the support ends, the survival rate drops significantly and the scale remains at the microenterprise level, raising concerns about the quality growth and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at affects the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 utilization capabilities in this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random sample of member organiza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the Incheon City Small Business Association, the Gyeonggi-do Small Business Association etc.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and a total of 1,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80 were returned, of which 173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seven that were not returned.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using Smart PLS ver. 4.1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ial value orientation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both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Convergent value orientation was only found to have an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but not on social performance.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 capabilities was also found, suggesting that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en social network capabilities are higher. 공공경제와 시장경제의 논리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조직인 사회적기업은 시장실패의 대안으로 급부상하며 그 역할이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정부주도로 압축성장을 하다 보니 많은 사회적기업이 정부의 재정지원에 의존하는 실정으로 지원이 끝나면 생존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규모는 영세기업 수준에 머무는 등 사회적기업의 질적인 성장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기업가 지향성을 도출하고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 활용역량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진행한 설문은 인천시소상공인연합회,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 인천시 마을기업지원기관, 인천광역시 사회적기업 복합매장 두레온, 미추홀구 K콘텐츠 청년창업실 등의 수도권 회원사에 대하여 무작위 표본에 배포하였다. 설문조사는 2024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8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7부를 제외한 173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 데이터는 SPSS ver. 28.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후, Smart PLS ver. 4.1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측정모델 평가, 구조모델 평가 및 구조방정식 모델링 검정을 실시하였다. 기업가적 가치지향성은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가치지향성도 경제적, 사회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적 가치지향성은 경제적 성과에만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성과에 대한 유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 네트워크 활용역량의 조절 효과도 나타나 사회 네트워크 활용역량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가 지향성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기업 인증 시 사회적기업가 지향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방법, 예비 사회적기업가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기업가 지향성 교육 강화, 사회적기업 생태계 내 협업 네트워크 구축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29243362099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9.4.20240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