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관련 주의편향의 시간적 경과 분석

Attention and emotion interact intimately. Anxiety, for example, modifies attentional mechanisms to enhance the processing of threat-related information. But how can it modulate attention? Studies of the emotional Stroop task showed clearly that color naming was interfered with more by negative wor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지과학 Vol. 35; no. 2; pp. 113 - 127
Main Author 최문기(Moon-Gee,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지과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4067
DOI10.19066/cogsci.2024.35.2.0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Attention and emotion interact intimately. Anxiety, for example, modifies attentional mechanisms to enhance the processing of threat-related information. But how can it modulate attention? Studies of the emotional Stroop task showed clearly that color naming was interfered with more by negative word distractors than by neutral distractors in anxious participant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in what stage an emotional stimulus biases atten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locus of interference in the emotional Stroop task by manipulating the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 between the word distractor and the color target (0ms, 120ms, or 240ms). Results showed that interference occurred only with 0ms of SOA for anxious participants, whereas for non-anxious participants, there was no interference effect. These results support the view that the attentional mechanism was modulated in early stage of information processing by anxiety. 주의와 정서는 밀접하게 상호작용한다, 이중 불안정서은 주의 메커니즘을 수정하여 위협 관련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처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현상은 주로 정서스트룹 과제의 연구결과로 나타났는데, 이 과제에서 불안한 참가자는 중성적 단어보다 부정적 단어의 색이름을 말하는데 더 늦은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며, 이를 불안 관련 주의편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주의편향 현상이 정보처리의 어떤 단계에서 발생하는지는 아직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스트룹과제를 변형하여 단어와 색을 분리하고 두 자극의 제시 시간을 조작하여(SOA 0ms, 120ms, & 240ms) 정서스트룹관련 주의편향이 정보처리의 초기 단계에서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불안을 가진 참가자의 경우 0ms의 SOA에서만 부정단어에 의해 간섭 효과가 나타난 반면, 불안하지 않은 참가자의 경우 간섭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불안이 주의 메커니즘을 조절하여 정서정보처리의 초기단계에서 부정 정보를 더 빠르게 처리하도록 조절한다는 주의의 초기개입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2257694510
ISSN:1226-4067
DOI:10.19066/cogsci.2024.35.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