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벤처기업 자금지원 효과 실증 분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olicies for venture enterprises in the Daejeon region, using raw data obtained from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Administration's survey results from 2016 to 2021. Daejeon, considering its economic signi...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벤처창업연구 Vol. 19; no. 3; pp. 81 - 95
Main Authors 백운(Bai, Yun), 김태기(Kim, Taegi), 이언성(Li, Yancheng), 오근엽(Oh, Keunyeob)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벤처창업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19.3.202406.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olicies for venture enterprises in the Daejeon region, using raw data obtained from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Administration's survey results from 2016 to 2021. Daejeon, considering its economic significance, ha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venture enterprises in its economy compared to the national average, with a focus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yield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loan and guarantee support is effective for improving sales and market share, while R&D support is effective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Second, R&D and loan support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sales in the fourth stage (maturity), while guarantee support is most influential in the third stage. Third, in industry analysis, the coefficients representing the effects of financial support were larger across all performance indicators compared to firm level data analysis. Based on thes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study propose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provide funding support to venture companies rather than leaving investments to the capital market. Second, the methods and targets of funding support should va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up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tform that connects venture companies with private investors to commercialize developed technologies. Fourth, the funding support of venture capital for technology-intensive venture companies should be expanded.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결과 산출된 원데이터(raw data)를 구득하여 2016년~2021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전지역의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정부의 자금지원 정책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대전 지역은 경제 규모를 고려하였을 때 전국에 비해 경제에서 차지하는 벤처기업의 비중이 매우 크며 기술개발 지향적 특성을 갖고 있다. 벤처기업 데이터를 pooling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대전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효과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전체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 매출 및 시장점유율 개선을 위해서는 융자 및 보증서 지원이 효과적이고 기술개발을 ㅣ럴 위해서는 R&D 지원이 효과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성장단계별로, R&D지원 및 융자지원은 4단계(성숙기)에서 매출에 가장 큰 영향을 주지만 보증서 지원은 3단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지재권에 대한 영향은 R&D지원과 융자지원 모두 2단계(초기성장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산업별로 수치들을 통합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자금지원의 효과가 기업데이터 분석의 경우보다 산업데이터 분석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자금지원 정책이 단순히 해당 수혜기업의 성과 개선에만 그치지 않고 산업내의 다른 기업에도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들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벤처기업에 대해서는 자본시장에 맡겨두어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보다는 정부가 적극적인 자금지원을 해야한다. 둘째, 자금지원의 목적에 따라 지원 방법과 대상을 달리 해야 한다. 셋째, 개발된 기술을 상업화할 수 있도록 벤처기업과 민간투자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의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기술집약적 벤처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의 자금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3243216839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19.3.20240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