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사이언스 연구의 지적 구조 분석 및 시각화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ta scienc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d a total of 17,997 bibliographies on data science indexed in Web of Science(WoS) of Clarivate Analytics from 2012 to 2021. This research applied methods such as de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7) Vol. 22; no. 7; pp. 18 - 2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7.018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ta scienc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d a total of 17,997 bibliographies on data science indexed in Web of Science(WoS) of Clarivate Analytics from 2012 to 2021. This research applie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citation analysis, co-author network analysis,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and co-citation analysi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finding the research directions of future data science topics. 본 탐색적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Clarivate Analytics사의 Web of Science(WoS)에 색인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을 분석의 대상으로 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WoS에 색인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 총 17,997편을 분석했다.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의 지적 구조를 집중 분석하기 위해 기술 분석, 인용 분석, 공동 저자 네트워크 분석,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서지 결합 분석, 동시 인용 분석을 수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연구의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22251943378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7.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