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메타버스 인터랙션의 기회와 발전방향
In the COVID-19 pandemic era, non-contact services were demanded and the use of extended reality and metaverse services increased rapidly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Gather.town, ifland, Roblox, and ZEPETO metaverse platforms in terms of user interaction, avatar-based interact...
Saved in:
Published in | 스마트미디어저널 Vol. 11; no. 6; pp. 9 - 1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31.07.2022
Korean Institute of Smart Media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1322 2288-9671 |
DOI | 10.30693/SMJ.2022.11.6.9 |
Cover
Loading…
Summary: | In the COVID-19 pandemic era, non-contact services were demanded and the use of extended reality and metaverse services increased rapidly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Gather.town, ifland, Roblox, and ZEPETO metaverse platforms in terms of user interaction, avatar-based interaction, and virtual world authoring. Especially, we distinguish interactions among user input techniques that occur in the real world, avatar representation techniques to represent users in the virtual world, and interaction types that create a virtual world through user participation. Based on this work, we highlight the current trends and needs of human-metaverse interaction and forecast future opportunities and research directions.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거치면서 비대면 서비스가 요구되었고 확장현실 및 메타버스 서비스의 활용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급증하였다. 이 논문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 이프랜드, 로블록스, 제페토를 사용자 인터랙션, 아바타 기반 인터랙션, 가상 세계 생성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특히 사용자의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기법, 가상 세계에서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의 표현 기법, 그리고 사용자 참여를 통해 가상 세계를 제작하는 인터랙션 유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를 통해 현재 메타버스 인터랙션의 추세와 요구를 도출하고 휴먼-메타버스 인터랙션의 기회와 발전 방향을 전망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23753952757 |
ISSN: | 2287-1322 2288-9671 |
DOI: | 10.30693/SMJ.2022.11.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