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족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작품 경향
Chinese Korean dance has been handed down in its original form, and some of the dances have changed slightly due to changes in the names of people or places, but it is a creative dance developed based on the roots of the Korean people. Therefore, it is a unique form of dance art that reflects the h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7) Vol. 22; no. 7; pp. 623 - 63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7.623 |
Cover
Loading…
Summary: | Chinese Korean dance has been handed down in its original form, and some of the dances have changed slightly due to changes in the names of people or places, but it is a creative dance developed based on the roots of the Korean people. Therefore, it is a unique form of dance art that reflects the history and life of the ethnic Koreans while imbuing the unique psychology, emotions, artistic symbols, and creative talents of the Korean people. In this study, however, it is most important to identify the identity of Korean dance through historical changes in Korean dance and representative works by period, and to increase awarenes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Therefore, based on the literature,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concept and formation process of Korean dance,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each period by dividing the history of Korean dance into four period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ggest challenge of the present era is not to establish and protect the identity of Chinese Korean dance, rather than simple dance. 중국 조선족 무용은 원형 그대로 전해 내려왔으며, 간혹 인명 또는 지명들이 바뀌면서 일부 무용들이 약간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한민족의 뿌리에 바탕을 두고 발전시킨 창작무용이다. 따라서 그 유산에는 한민족의 고유한 심리와 정서, 예술적 기호, 창조적 재능이 배어있으면서도 조선족만의 역사와 생활이 반영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의 무용예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족 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시대별 대표작품들을 통해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알아보았으며, 한민족의 뿌리를 지니고 있는 조선족무용의 특성을 알아보면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체성 확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들을 바탕으로 조선족 무용의 개념 및 형성과정을 파악하여 조선족 무용사를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대표작품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무용은 단순한 춤이 아닌 중국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지키는 것이 현시대에 가장 큰 과업이 아닐까 사료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22251910372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7.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