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의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이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A social enterprise is an enterprise that pursues a social purpose with financial resources obtained through its own profit-making activities.. In a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social enterprises to maintain sustainability. Due to the poor and limi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벤처창업연구 Vol. 17; no. 4; pp. 205 - 218
Main Authors 이은희(Lee Eun-Hee), 하규수(Ha Kyu-S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17.4.202208.2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A social enterprise is an enterprise that pursues a social purpose with financial resources obtained through its own profit-making activities.. In a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social enterprises to maintain sustainability. Due to the poor and limited resources of social enterprises, the core competency of human resources i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order for social enterprises to maintain their sustainability, it is very urgent to create conditions so that workers can stably commit themselves in their work.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job commitment among workers of social enterprises. As factors affecting job commitment, job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factor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was also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and 260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Job knowledge, job skill, job experience, job desire as sub-factors of job fit, and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which we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commitment. The impact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procedural justice, job experience, job desire, distributive justice, job skill, and job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ce of interactional justice was not tested. Emotional leadership was analyzed to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job knowledge, job skill, job desir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job commitment. However, moderating effect were not tested between job experience,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expanded the scope of existing job-related studie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job commitment within the category of social enterprises at the academic level. At the psychological level, job experience was foun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various influencing factors. Significant implications necessary for future training for workers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systems were presented. 급변하는 시장 환경속에서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는 점점 힘들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기업의 열악하고 한정된 자원으로 인하여 인적자원의 핵심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이 안정적으로 본인의 업무에 몰입할 수 있게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했다. 직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26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 적합성의 하위 요소인 직무 지식, 직무 기술, 직무 경험, 직무 욕구와 조직 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은 직무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조직 공정성의 하위 요소 중의 하나인 상호작용 공정성은 유의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영향력의 크기는 절차 공정성, 직무 경험, 직무 욕구, 분배 공정성, 직무 기술, 직무 지식 순이었다. 감성적 리더십은 직무 지식, 직무 기술, 직무 욕구,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과 직무 몰입 사이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직무 경험, 상호작용 공정성과 직무 몰입 간에는 유의한 조절역할이 검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증연구 결과는 학술적인 차원에서는 사회적기업이라는 범주내에서 직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직무 관련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였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는 다양한 영향 요소 중 직무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향후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각종 제도 시행시 필요한 유의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30649350523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17.4.202208.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