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곱-장단기 기억 신경망의 하이브리드 결합 모델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Arrhythmia is a condition in which the heart beats abnormally or irregularly, early detec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cause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fainting or sudden cardiac death. However,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due to personalized differences in ECG signals. In this paper, w...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6; no. 1; pp. 76 - 8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22.26.1.76 |
Cover
Summary: | Arrhythmia is a condition in which the heart beats abnormally or irregularly, early detec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cause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fainting or sudden cardiac death. However,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due to personalized differences in ECG signals. In this paper, we propose arrhythmia classification using hybrid combination model of CNN-LSTM. For this purpose, the R wave is detected from noise removed signal and a single bit segment was extracted. It consisted of eight convolutional layers to extract the features of the arrhythmia in detail, used them as the input of the LSTM. The weights were learned through deep learning and the model was evaluated by the verification data.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accuracy, precision, recall, F1 score through MIT-BIH arrhythmia database. The achieved scores indicate 92.3%, 90.98%, 92.20%, 90.72% in terms of the accuracy, precision, recall, F1 score, respectively. 부정맥은 심장 박동이 비정상 혹은 불규칙하게 뛰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실신이나 심장돌연사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조기 검출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심전도 신호의 개인차로 인해 분류 시 성능하락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CNN-LSTM 하이브리드 결합 모델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잡음을 제거한 ECG 신호에서 R파를 검출하고 단일 비트 세그먼트를 추출하였다. 이후 부정맥 신호의 특징을 세밀하게 추출하도록 8개의 합성곱 계층으로 구성하고 이를 LSTM의 입력으로 사용한 후 가중치를 학습시키고 검증 데이터로 모델을 평가한 후 정상 및 부정맥 분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정확도(accuracy), 정밀도(precision), 재현율(recall), F1 스코어가 사용되었다. 성능평가 결과,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F1 스코어는 각각 92.3%, 90.98%, 92.20%, 90.72%의 우수한 분류율을 나타내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08258832784 http://jkiice.org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22.26.1.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