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장제도의 안심소득제가 수혜자의 경제적 자립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afety income system on recipient's economic in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und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650 adult householders benefiting from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e SP...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4) Vol. 19; no. 4; pp. 598 - 60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9.19.04.598 |
Cover
Summary: |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afety income system on recipient's economic in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und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650 adult householders benefiting from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e SPSS 23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pply measurement variables related to the safety incom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ocial insurance and the social assistance of safety income system were adopted,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independence. The effect of economic independence on life satisfaction was rejected, while the effect of social assistance on life satisfaction was adopted, showing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ach factor. The findings imply that social insurance and social assistance with support for safe income can be a positive help for economic independence, and unemployment benefit, national pension, long-term care subsidy and health insurance can help to achieve real economic independence, adopting only social assistance with limitation to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the safety income system is very useful in helping recipients to achieve their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its introduction, but there is some distance to meet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사회보장 제도의 일환으로 안심소득제가 수혜자의 경제적 자립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사회보장제도의 수혜를 받고 있는 성인 가구주 650명을 대상으로 안심소득제 관련 측정변수를 적용하여 SPSS 23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안심소득제 사회보험과 사회부조는 경제적 자립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으며, 경제적 자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각된 반면, 안심소득제의 사회부조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채택되어 각 요인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안심소득을 위한 지원으로 사회보험과 사회부조가 경제적 자립에는 긍정적인 도움이 됨을 의미하고 생활만족까지에는 제한을 갖고 사회부조만 채택되어 실업급여, 국민연금, 장기요양 보조금, 건강보험이 실질적인 경제적 자립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심소득제의 도입을 통한 수혜자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데 안심소득제가 매우 유용함을 시사하고 이를 통한 생활만족까지 충족하는 데는 다소 거리감이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14456457375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9.19.04.5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