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청년 노동자의 전자 파놉티콘 경험과 세속화 가능성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on-regular workers' electronic panopticon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and get which meaning of life through that. Seven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is Ethnography Research; Five young workers and two self-employees. 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 Vol. 20; no. 2; pp. 607 - 625
Main Authors 노은청(Eun-Cheong Noh), 성동규(Dong-Kyoo Sung), 장성원(Sung-Won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2.6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on-regular workers' electronic panopticon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and get which meaning of life through that. Seven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is Ethnography Research; Five young workers and two self-employees.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edia system and medium such as the smartphone and social media operate as the electronics panopticon device which constantly being watched. Second, this kind of electronics panopticon experience tries to observe the discipline of itself and experiencing de-extermination which lost its diversity by intended to internalize the actions demanded by the employer. Final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secularization by resisting power devices through smart devices and media and seeking workers' rights and interests through the community. Therefore, this research confirms the media could function as electronic panopticons device and as a device for the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본 연구는 비정규직 청년 노동자들의 전자 파놉티콘 경험과 세속화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어떠한 삶에 의미를 획득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노동자 5명, 자영업자 2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문화기술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SNS 등과 같은 미디어 기기 및 매체가 전자 파놉티콘 장치로서 작동하고 있었으며, 끊임없는 감시를 당하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전자 파놉티콘의 경험은 고용주가 요구하는 행동을 내제화하여 스스로 규율을 지키고자 하였으며, 다양성을 상실한 탈주체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스마트 기기와 미디어 매체를 통해 권력 장치에 저항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노동자 권익을 찾는 행위를 함으로서 세속화 실천을 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가 전자 파놉티콘의 장치이자 세속화 가능성의 장치로 작동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0765876559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2.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