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is an important basis for improving the practice of statistical education by describing, predicting, and explaining the phenomena of statistic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publi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27; no. 2; pp. 269 - 289
Main Authors 탁병주(Byungjoo Tak), 이경화(Kyeong-Hwa,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1.05.2017
대한수학교육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7733
2288-835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is an important basis for improving the practice of statistical education by describing, predicting, and explaining the phenomena of statistic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major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on the 21st century. 99 papers published in these journals from 2000 to 2016 were categorized by journal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topic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re are not many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ers, so domestic researches are dependent on some researchers. In addition, the numbers of studies of human subjects and human non-subject researches were similar. There were few stud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udies of teachers' subjects was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10. In the case of research methods, the numbers of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seem to be similar, but this i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since 2010. Last, many studies about domestic statistics education are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studies on reasoning and understanding have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see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statistics educ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통계교육 연구는 통계교육의 현상을 기술, 예측, 설명함으로써 통계교육의 실제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이후 국내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통해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2000년부터 2016년까지 17년 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99편을 찾아, 학술지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범주화하고 연도별로 그 분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통계교육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그 편수가 많지 않아 특정 연구자들에 의한 연도별 변이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비대상 연구가 대체적으로 비슷했으며 대학생 대상의 연구가 거의 없고 교사 대상의 연구는 2010년 이후로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 방법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연구와 비실험 연구가 비슷하게 수행된 것으로 보이나 이는 2010년 이후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가 증가함으로써 비롯된 현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통계교육 연구 중에서는 교수 학습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추론 및 이해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계교육의 연구 동향을 2010년 전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확인하고 향후 통계교육 연구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18555926795
ISSN:2288-7733
2288-8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