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에서 디지털기술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The COVID-19 Pandemic incident forced all educational and learning activities to move online, so it is no longer an option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ducation and learning. Venture capital has made the largest investment ever in Edu-tech startups. This study investigates th...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7; no. 2; pp. 153 - 16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7.2.202204.153 |
Cover
Loading…
Summary: | The COVID-19 Pandemic incident forced all educational and learning activities to move online, so it is no longer an option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ducation and learning. Venture capital has made the largest investment ever in Edu-tech startup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long with digital literacy, which has become an essential ability in the digital age.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 find that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social influ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Moreover, digital literac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social impact, but th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on learning i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o see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present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10s and 60s, between 20s and 60s, between 30s and 60s on the path of socia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are significantly reduced. This study academicall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a specific situation of education by considering both digital literacy an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ractical guide to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each age when making learning participants more actively use digital technology. 코로나19 팬더믹 사태로 인해 교육 및 학습 활동이 온라인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교육 및 학습에 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에듀테크(Edutech) 스타트업에 대해 벤처캐피탈은 역대 최대 투자액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수능력인 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함께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을 같이 고려하여,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는 요소인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 요인들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직접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집단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이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경로에 대해 10대와 60대, 20대와 60대, 30대와 60대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함께 고려하여 학습이라는 특정상황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는데 기여했으며, 실무적 측면에서 학습 참여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게 만들 때에 연령별로 주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인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14049504887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7.2.202204.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