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예능 캐릭터 유형 분류 연구

Korean entertainment programs have attempted to change formats to reflect the viewers' preference for the unexpected progress of narrative. Casts have used their public identity and it contributes to strengthen the realism by providing their realistic reactions. This study is to advance unders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9) Vol. 20; no. 9; pp. 11 - 18
Main Authors 정예진(Ye-Jin Jeong), 김명준(Myoung-J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9.01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Korean entertainment programs have attempted to change formats to reflect the viewers' preference for the unexpected progress of narrative. Casts have used their public identity and it contributes to strengthen the realism by providing their realistic reactions. This study is to advance understanding of entertainment characters' characteristic by classifying character types and analyzing main types that have been appeared repeatedly. This study suggests securing diversity of entertainment characters by noticing character types appearing at low frequency in classification. 19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예능 프로그램은 돌발적인 스토리 진행에 대한 시청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해 '사실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으로의 변화를 시도해왔다. 예능 프로그램의 출연진들은 자신의 대중적인 정체성을 예능 프로그램의 내부로 끌어들였고, 이는 돌발적인 상황에 맞닥뜨린 출연진의 반응을 현실적으로 연출할 수 있게 만들어 예능 프로그램의 사실성 강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 예능 프로그램에 등장한 캐릭터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반복적으로 등장한 주요 유형을 분석하여 예능 프로그램의 캐릭터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캐릭터 유형 분류상에서 낮은 빈도로 등장한 캐릭터 유형들의 잠재적 활용가치에 주목하여 예능 캐릭터의 다양성 확보를 제안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29462557749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9.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