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를 활용한 식음료 축제속성의 중요도와 성취도 연구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ption level among the food & beverage festival attributes of visitors participating 'Daegu Chimac Festival' and also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food & beverage festival Attributes. The r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6) Vol. 19; no. 6; pp. 368 - 378
Main Author 황수영(Soo-Young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6.36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ption level among the food & beverage festival attributes of visitors participating 'Daegu Chimac Festival' and also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food & beverage festival Attribu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food & beverage festival attributes were grouped into four factors such as 'sanitation environment', 'food taste and variety', 'food quality and supplementary service' and 'food purchase convenient.' Secondly, the 4 factors and 21 items of festival attribu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inally,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322 visitors at '2018 Daegu Chimac Festival' indicated that 'food purchase convenient' and 'food taste and variety' were important to visitors and had high performance. Although attributes related to 'food quality and supplementary service' had an low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and also 'sanitation environment' had an low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in the IPA results, they were identified as the key determinants affecting food & beverage festival' success. 본 연구는 식음료축제의 대표 지역축제인 '2018 대구치맥페스티벌'에 참가한 방문객의 축제속성을 규명하고, 축제속성 요인과 항목들의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IPA를 활용해 식음료 축제속성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개선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8 대구치맥페스티벌' 방문객의 식음료 축제속성 요인분석 결과, '위생적 환경', '음식맛과 다양성', '음식품질과 부가서비스', '음식구매편리성' 등 4개의 차원과 22개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음료 축제속성의 22개 항목별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22개의 축제속성 중 21개의 축제속성 항목에서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항목에서 성취도가 중요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18 대구치맥페스티벌' IPA를 실시한 결과, I사분면(유지영역)에서는 4개의 요인 중 '음식구매편리성'과 '음식맛과 다양성' 요인과 이와 연관된 8항목이 포함되어 지속적으로 유지할 축제속성으로 나타났다. II사분면은 "이색적인음식", "음식/음료의 적당한 조리시간" 2항목이 포함되어 더욱 집중해서 성취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II사분면은 '음식품질과 부가서비스' 요인과 이와 연관된 9항목이 포함되었으며, IV사분면은 '위생적 환경' 요인과 이와 연관된 3개 항목이 포함되었으므로, 중요도가 낮은 속성들은 중요도 인식을 높이고, 성공된 축제를 위해서 성취도 또한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지역사회의 식음료 축제가 차별화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갖춘 축제로 거듭나기 위한 마케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19263352633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6.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