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우대 정책이 팀장의 인지된 조직 내부프로세스 역량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 사내기업가 정신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Companies have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corporate entrepreneurship to establish a core employment policy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 core employees and to foster a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8) Vol. 21; no. 8; pp. 150 - 16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8.150 |
Cover
Loading…
Summary: | Companies have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corporate entrepreneurship to establish a core employment policy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 core employees and to foster a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re employment policies and the team leader's the perceived internal process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a moderation effect. Non-financial service industries including ICT companies were subject of the study and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was utilized. The samples were 367 team leaders from 79 domestic companies. This study also applied Multi-Level Analysis(HLM), which simultaneously analyzes variables at both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organizational level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core employment polic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internal process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oderation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was verified during the process when core employment policies influence the two outcome variables. corporate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have a moderation effect that strengthens th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but the moderation effect on the perceived internal process organizational competen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confirm that organizational cultural factors such as corporate entrepreneurship are important influence variables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core employment policies. Academically,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mpany strategies in respe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core employment policies, it is important to foster a cultural environment that suits the indust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companies in need of new innovation need to utilize corporate entrepreneurship. 최근 기업들은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인재우대 정책과 혁신 지향적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사내 기업가 정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재우대 정책이 팀장의 인지된 조직 내부프로세스 역량과 직무만족도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사내기업가 정신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인적자본패널(HCCP) 7차년도를 활용하였으며, ICT기업이 포함된 비금융서비스 업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표본은 국내 79개 기업의 팀장직급 367명을 표본으로 활용하였으며,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의 변수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위계적 선형모형(HLM)의 다수준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의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분석 결과, 인재우대 정책은 팀장의 인지된 조직 내부프로세스 역량과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재우대 정책이 두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내기업가 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내기업가 정신은 인재우대 정책이 직무만족도에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 내부프로세스 역량에 대한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재우대 정책과 같은 조직수준의 변수가 개인수준의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내기업가 정신과 같은 조직 문화적 요소가 중요한 영향변수임을 확인하였다. 학술적으로는 인적자원 관리 차원에서 인재우대 정책과 같은 회사 전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종과 조직의 특성에 맞는 적합한 문화적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는 것과, 새로운 혁신이 필요한 기업은 사내기업가 정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26048603456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8.150 |